프로젝트별 민관합동 '원팀코리아' 구성KIND 자본금한도 5000억→2조원 상향 국가별 전략마련…PIS펀드 4천억 추가
  • ▲ ⓒ
    ▲ ⓒ
    정부가 연 500억불 해외수주 달성을 위해 전방위지원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31일 대통령주재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외인프라 수주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국토부는 주요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국가별 민관합동 원팀코리아를 구성, 인프라와 컨텐츠 등을 포괄하는 패키지 수주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일례로 중동과 아시아·중남미 등 유망지역별로 수주특성, 발주동향 등을 종합분석한 후 연말까지 차별화된 진출전략을 마련한다. 특히 고유가로 대규모 발주가 예상되는 중동지역은 사우디순방 등 고위급 외교와 함께 대규모 금융지원을 통해 우리기업 협상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법정자본금 한도를 기존 5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상향하고 대부업법 개정을 통해 국내금융기관에만 허용됐던 인프라 대출채권 매각을 해외금융기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더불어 입찰단계에서 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해 KIND 도시임프라분야 정부간 협상(G2G) 지원기능을 강화하고 인니·베트남·케냐·방글라 등 4개국에서 운영중인 해외건설 정책지원센터를 폴란드 등에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개도국 정부사업에 대한 경협증진자금(EDPF) 금리를 최대 3.5%에서 1.4%로 인하하고 복합개발사업을 위한 자금간 연계도 강화해 해외에 진출하는 우리기업들에 원활한 금융조달이 될 수 있게 조정한다. 

    원전·친환경산업 수주를 위한 전략도 마련된다. 지난 8월 출범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통해 국가별 원전수주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체코·폴란드 등 주요 원전발주국에 고위급 외교단을 파견, 수주지원에 나선다. 

    수출입은행은 중동의 주요 에너지·친환경 사업 발주처와 총 500억불 규모 기본여신약정을 체결하고 친환경사업 지원을 위한 4000억원 규모 PIS펀드(플랜트·인프라·스마트시티 펀드)를 추가 조성할 방침이다. 

    원희룡 장관은 "우리나라는 중동붐을 일으킨 해외건설 강국으로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해외기업 저가입찰 공세와 코로나 팬데민 등으로 위축돼 있었다"며 "다시한번 해외건설시장 활성화가 기대되는 만큼 정부와 공공, 민간의 수주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고 모두가 한팀이 돼 연 500억불 수주, 4대 해외건설 강국진입을 목표로 함께 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