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2045년 선진국 도약 목표…2030·2045마스터플랜비전 확정 GS건설, 한국형 스마트시티 '냐베신도시'…임병용 부회장 의지 뚜렷 대우건설, 1991년 하노이지사 설립…정원주, 호치민 투자검토 선언 롯데건설,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추진…개발법인 '롯데랜드' 설립
  • ▲ 대우건설(왼쪽부터)·롯데건설·GS건설 본사 전경. ⓒ각사 제공
    ▲ 대우건설(왼쪽부터)·롯데건설·GS건설 본사 전경. ⓒ각사 제공
    국내 주택시장이 완연한 침체기에 접어선 가운데 건설업계 수주전략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주택사업에 치중됐던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면서 '부동산쇼크'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그중 새 활로로 해외시장이 꼽힌다. 정부가 국내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키로 하면서 K-건설 해외수주는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건설사들이 올해 가장 주목하고 있는 해외시장중 하나는 베트남이다. 베트남은 최근 정부주도 아래 신도시·인프라 개발을 적극 추진중이다.  베트남 정부는 2045년 선진국 도약을 목표로 '2030 국가마스터플랜'과 '2045 마스터플랜비전'을 확정했다.

    이를 위해 교통·에너지·정보통신기술(ICT)·기반시설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인프라산업 규모 또한 지난해 52억달러에서 2030년 110억달러로 연평균 9.8%씩 성장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베트남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건설사는 GS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이다. GS건설과 롯데건설은 남부 호치민에서 대우건설은 북부 하노이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을 진행하며 현지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우건설이 최근 호치민 인근 빈즈엉성 등에 대한 투자확대를 검토하며 베트남 남부공략에 나서면서 호치민내 국내건설사간 수주경쟁이 예상된다. 

    베트남시장에 가장 먼저 깃발을 꽂은 곳은 대우건설이다. 1991년 하노이지사를 설립하며 시장에 첫발을 내디딘후 지난해초부터 첫 한국형 신도시 '스타레이크시티' 개발사업을 추진중이다. 

    이 사업은 하노이 북서쪽에 여의도 면적 3분의 2에 달하는 210만4281㎡ 규모 신도시를 조성하는 것으로 각종 주거·상업시설과 정부기관 등이 들어선다. 총 사업비는 31억달러(약 3조7000억원) 규모로 대우건설이 지분 100%를 보유한 베트남 THT법인이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스타레이크시티는 대우건설이 직접 부지를 매입해 신도시기획·금융조달·시공·분양을 총괄하는 복합개발방식으로 이뤄지는 게 특징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시행과 시공을 병행하는 복합개발은 시공만 맡는 다른사업과 달리 플러스알파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추후 다른사업의 연계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흥그룹에 인수된 후에는 텃밭인 하노이를 넘어 남부 호치민 진출을 타진, 양적확대에 나서고 있다.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은 최근 호치민 북쪽 빈즈엉성 고위관계자들과 만나 "현재 북부 하노이를 중심으로 추진중인 사업을 남부로 확장할 것"이라고 투자검토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재 호치민은 롯데건설과 GS건설이 신도시조성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지역으로 대우건설 진출시 3사간 치열한 '파이다툼'이 예상된다.

    지난해 9월 첫삽을 뜬 롯데건설의 '투티엠 에코스마트시티' 사업은 호치민 투티엠지구 5만㎡부지에 코엑스 1.5배인 연면적 약 68만㎡ 규모 지하 5층~지상 60층짜리 쇼핑몰 등 상업시설과 오피스·호텔·레지던스·아파트로 구성된 복합단지다. 

    롯데건설은 2006년 호치민에 처음 진출했으며 북부 하노이에서도 65층 롯데센터 하노이·롯데몰 하노이를 시공하는 등 베트남 전역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2019년에는 개발법인인 롯데랜드를 설립해 개발사업도 병행중이다.

    GS건설은 호치민에서 5㎞ 떨어진 냐베현 350만㎡ 부지에 한국형 스마트시티 '냐베신도시' 사업을 진행중이다. 임병용 부회장과 허윤홍 사장 등 최고경영진은 최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과 만나 투자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등 적극적인 사업확대 의지를 보인 바 있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베트남정부는 경기부양과 경제구조 다각화를 목표로 민관협력사업(PPP)에 기반을 둔 인프라 개발사업 발주를 확대할 것"이라며 "건설사와 정부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참여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