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소득 -1.1%… 6년 만에 최대폭 감소소비지출 5.9%↑… 난방비·이자지출 급증저소득층 일해서 번돈 16%↑·고소득층 지원금 17%↓정부·지자체 지원금 '거품' 빠졌어도 빈부격차 개선
-
지난해 4분기 고물가 영향으로 가구당 실질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개 분기 연속 뒷걸음질 쳤다.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등 고소득층의 공적이전 소득은 큰 폭으로 줄고, 고용시장 호조로 저소득층의 근로소득 등은 늘면서 빈부 격차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물가에 실질 소비지출 0.6% 증가 그쳐23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2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3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4.1% 증가했다.근로소득은 312만1000원으로 7.9% 늘었다. 1인 가구를 포함해 조사가 이뤄진 2006년 이후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근로소득은 2021년 2분기부터 7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사업소득은 101만8000원으로 전년대비 제자리걸음을 했다. 인건비와 원자잿값 상승이 소득증가를 저해했다.이전소득은 57만 원으로 1년 전보다 5.3% 감소했다. 2021년 10월부터 지급됐던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이 사라진 영향이다.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1년 전과 비교해 1.1% 줄었다. 지난해 3분기(-2.8%)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은 4분기 기준으로 2016년(-2.3%) 이후 6년 만에 최대였다.같은 기간 지출도 고물가 여파로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액은 362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4% 증가했다.가구당 소비지출은 269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5.9% 늘어 4분기만 놓고 봤을 때 2009년(7.0%) 이후 13년 만에 가장 많이 늘었다.품목별로는 주거·수도·광열 지출이 1년 전보다 6.0% 증가했다. 난방비 포함 연료비 지출이 16.4% 급증했다. 코로나19 방역 해제에 따라 오락·문화(20.0%), 음식·숙박(14.6%), 교육(14.3%) 지출도 늘었다.다만 물가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4개 분기 연속 0%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지갑을 여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얘기다.세금·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92만8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8.1% 증가했다. 증가 폭은 4분기만 놓고 봤을 때 2019년(9.6%) 이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이자 비용 지출은 28.9%로, 2006년 이래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지난해 4분기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90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2%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각종 소비지출을 뺀 가계 흑자액은 120만9000원이다. 1년 전보다 2.3% 줄었다.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
◇저소득층 소득, 고소득층의 2배 이상 증가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층인 1분위(소득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해 6.6% 늘었다.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15.6%, 사업소득은 16.0% 증가했다. 반면 앞선 문재인 정부에서 저소득층 소득 증가를 견인했던 이전소득은 0.8% 증가에 그쳤다. 사적이전 소득은 2.6% 는 데 비해 공적이전 소득은 0.1% 늘었을 뿐이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 받은 돈보다 시장에서 벌어들인 돈이 크게 늘었다는 얘기다. 조사대상에 1인 가구가 포함된 가운데 고용시장에서 홀로 사는 고령자의 취업 여건이 좋았던 점이 1분위 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고소득층인 5분위(소득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42만7000원으로 2.9% 증가했다. 저소득층 소득증가율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공적이전(-17.4%) 등 이전소득이 14.4%나 줄어든 게 컸다. 2021년 말 지급됐던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소멸 효과 때문이다.1분위와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5만3000원, 829만5000원으로, 각각 1년 전보다 7.1%, 2.3% 증가했다.같은 기간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0만3000원으로 9.1% 증가했다. 소득 5분위 가구는 455만2000원으로 6.7% 늘었다.소비지출 비중은 저소득층은 식료품·비주류음료(21.1%), 주거·수도·광열(20.0%), 음식·숙박(12.5%), 고소득층은 음식·숙박(15.5%), 교통(15.0%), 식료품·비주류음료(12.4%) 순이었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월평균 35만 원의 적자 살림을 했다는 계산이다. 1분위 중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은 59.5%로 나타났다. 반면 5분위 가구는 월평균 374만3000원의 흑자를 냈다.
빈부 격차는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로 줄었다. 소득 분위별 빈부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3배로 1년 전 5.71배보다 0.18배포인트(p) 내렸다. 이 지표는 실질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눠 1분위와 5분위를 비교한 것이다. 수치가 내리면 그만큼 소득격차가 줄었다는 얘기다.정부지원금 거품을 뺀 균등화 시장소득(근로·사업·재산·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도 10.38배로 1년 전(11.70배)보다 1.32배p나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