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가공식품 물가 지속 상승…교촌치킨, 내달부터 가격인상정부, 식품업계 인상자제 요청에도 남양·롯데 등 인상 행렬이번주 2분기 전기요금 인상 여부 발표 예정… 한전 적자 난관정부, 숙박쿠폰 등 내수활성화대책 발표 예정… 효과는 미지수
-
수출 부진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식품과 외식물가가 다시 반등하는 가운데 전기요금마저 오를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소비자가 지갑을 얼마나 열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의견이 제기된다. 더욱이 미국발 긴축 지속으로 고금리가 이어질 공산이 커져 정책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지수는 115.45로 전년동기대비 7.5% 상승했다. 지난해 9월 외식 물가상승률이 9%를 기록한 이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7.7%로 하락한 데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4.8%를 기록하면서 물가 상승세가 꺾일 것이란 기대가 나왔지만, 되려 외식물가가 상승으로 돌아섰다.빵, 과자, 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데다, 최근 햄버거와 치킨 등 외식업계의 가격인상까지 줄지어 일어나면서 내수침체가 더욱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가격인상의 신호탄을 쏜 것은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다. 교촌치킨은 지난 2021년 11월 가격을 인상한 이후 1년5개월 만에 치킨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키로 했다. 이에 따라 교촌 오리지날 치킨은 1만6000원에서 1만9000원으로 인상된다. 인기제품이 현재 2만 원쯤인 것을 고려하면 배달비까지 더해 '치킨 1마리 3만 원' 시대가 열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문제는 교촌치킨의 가격인상을 시작으로 다른 업체들이 가격인상 행렬에 뛰어들 수 있다는 점이다. 경쟁사인 BBQ와 BHC는 현재까진 가격인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원재료 가격과 물류비용이 계속 오르며 이들 업체가 언제까지 가격을 동결할 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실제 주류와 식품업계에선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압박으로 가격인상을 검토했다가, 정부의 인상 자제 요청으로 이를 철회한 바 있다. 하지만 원가 압박이 워낙 거세다보니, 가격인상 철회 방침을 다시 뒤엎는 업체들이 속출하는 중이다. 남양유업은 다음 달부터 두유 출고가를 평균 4.7% 인상키로 했다. 롯데제과는 만두 등의 일부 냉동제품을 최대 11% 인상하기로 결정했다.2월 생산자물가지수(품목별)를 살펴보면 파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50.6%, 양파는 160.1%, 생강은 193.5%, 밀가루 19.7%, 부침가루 35.6%, 식용정제유 42.5%, 된장 30.9% 상승하는 등 원재료 가격 압박이 만만찮은 상황이다. 정부가 식품업계에 가격인상 자제를 지속해서 주문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인 셈이다.설상가상 공공요금도 내수침체를 부추기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5.2%, 2월 4.8%로 둔화했지만, 이 중 전기·가스·수도 요금의 물가상승률은 1월 28.3%, 2월 28.4% 급등해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이에 정부는 올 상반기 공공요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지만, 당장 전기요금이 발등의 불이다.정부는 이번 주 후반에 올 2분기 전기요금 인상 여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방침대로라면 전기요금을 동결해 물가 자극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한전의 지난해 적자가 32조6034억 원에 달하면서 요금인상을 마냥 외면할 수도 없는 상황이 됐다.이런 가운데 정부는 대규모의 숙박쿠폰 지급과 할인행사를 통해 소비와 관광수요를 끌어내는 내수활성화 대책을 준비 중에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며 늘어나는 소비와 여행수요에 고물가가 찬물을 끼얹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금리인상 압박이 변수로 지적된다. 지난 22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면서 우리나라와의 금리 차이는 1.5%p로 벌어졌다. 한국은행으로선 금리인상 압박이 거세진 셈이다. 금리가 추가로 오른다면 가계대출 부담이 커지면서 국민의 소비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9일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수출이 굉장히 부진하고 민생 현장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가 조금 더 활성화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 의식이 있다"며 "내수 활성화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여러 군데서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