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7월 韓 교역액 7398억달러… 중국시장 20.9% 여전히 높아中, 소비·수출·고용 지표 하락… 비구이위안 사태까지 겹쳐 '시한폭탄'추경호 "품목·지역 다변화 등 구조적 수출 대책 보완"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10월쯤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수출 비중이 큰 중국의 경기침체가 심상찮아 정부 전망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최근 중국은 소비와 수출, 고용 등 주요 지표가 악화하는 것도 모자라 소비자물가 상승률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공포까지 엄습한 상황이다.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 15일 발표한 7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2.5%, 산업생산은 3.7%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소매판매는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에서의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경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봉쇄정책을 폐기하고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한 이후인 3월 소매판매는 10.6%를 기록한 후 4월 18.4%, 5월 12.7% 등 두 자릿 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6월 들어 3.1%로 뚝 떨어지더니 7월에는 2%대로 주저않았다.7월 산업생산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산업생산은 지난 3월 3.9%, 4월 5.6%, 5월 3.5%, 6월 4.4% 등을 기록했지만, 7월 들어서는 다시 3%대로 하락했다. 설상가상 중국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대형 부동산 업체인 비구이위안(碧桂園)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까지 불거지며 금융 불안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7월 실업률은 5.3%로 6월 5.2%보다 0.1%포인트(p) 올랐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논란이 됐던 청년 실업률을 7월부터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 6월 중국의 청년(16~24세) 실업률은 21.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런 통계가 중국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중국 정부는 아예 공개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섰다.디플레이션 공포도 커지고 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0.3%, 생산자물가지수(PPI)는 4.4%로 각각 하락했다. 이들 지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였던 지난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중국의 수출도 7월 -14.5%를 기록하는 등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다.
-
세계의 성장 엔진이었던 중국 경제가 급속도로 식고 있는 것이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지 시각) 중국의 경제 지표를 언급하며 "중국은 많은 경우에서 똑딱거리는 시한폭탄과 같다"고 지적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도 지난 14일 "중국의 둔화는 이웃 아시아 국가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지만, 미국에도 어느 정도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액 7398억 달러 중 20.9%를 중국이 차지했다. 총 수출액 3575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은 19.6%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하지만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수출 실적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4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올해 1~7월 대중국 수출은 1년 전보다 25.9% 줄었다.중국 경제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수출 플러스를 달성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추 부총리도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10월 수출 플러스를 달성할 것"이라며 '상저하고' 전망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중국 경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추 부총리는 "만약 중국 경제 불안이 장기화하는 등 외부 불안 요인이 커지면 경제 전망을 다시 수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추 부총리는 17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수출지역과 품목 다변화 등의 수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한국은행이나 경제계에서는 탈(脫)중국 필요성을 언급하며 수출지역과 품목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정부도 이에 공감하며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추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 경제는 수출 감소세가 둔화하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본격적인 반등을 위해서는 범부처적인 수출지원 역량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품목·지역 다변화 등 구조적 수출 대책도 보완해 추가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