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7월 韓 교역액 7398억달러… 중국시장 20.9% 여전히 높아中, 소비·수출·고용 지표 하락… 비구이위안 사태까지 겹쳐 '시한폭탄'추경호 "품목·지역 다변화 등 구조적 수출 대책 보완"
  • ▲ 중국 경제 수도 상하이 ⓒ연합뉴스
    ▲ 중국 경제 수도 상하이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는 10월쯤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수출 비중이 큰 중국의 경기침체가 심상찮아 정부 전망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중국은 소비와 수출, 고용 등 주요 지표가 악화하는 것도 모자라 소비자물가 상승률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공포까지 엄습한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 15일 발표한 7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2.5%, 산업생산은 3.7%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소매판매는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에서의 판매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수경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이 '제로 코로나' 봉쇄정책을 폐기하고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을 한 이후인 3월 소매판매는 10.6%를 기록한 후 4월 18.4%, 5월 12.7% 등 두 자릿 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6월 들어 3.1%로 뚝 떨어지더니 7월에는 2%대로 주저않았다.

    7월 산업생산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산업생산은 지난 3월 3.9%, 4월 5.6%, 5월 3.5%, 6월 4.4% 등을 기록했지만, 7월 들어서는 다시 3%대로 하락했다. 설상가상 중국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대형 부동산 업체인 비구이위안(碧桂園)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까지 불거지며 금융 불안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7월 실업률은 5.3%로 6월 5.2%보다 0.1%포인트(p) 올랐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논란이 됐던 청년 실업률을 7월부터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 6월 중국의 청년(16~24세) 실업률은 21.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런 통계가 중국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중국 정부는 아예 공개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섰다.

    디플레이션 공포도 커지고 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0.3%, 생산자물가지수(PPI)는 4.4%로 각각 하락했다. 이들 지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였던 지난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중국의 수출도 7월 -14.5%를 기록하는 등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세계의 성장 엔진이었던 중국 경제가 급속도로 식고 있는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10일(현지 시각) 중국의 경제 지표를 언급하며 "중국은 많은 경우에서 똑딱거리는 시한폭탄과 같다"고 지적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도 지난 14일 "중국의 둔화는 이웃 아시아 국가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지만, 미국에도 어느 정도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우리나라의 전체 교역액 7398억 달러 중 20.9%를 중국이 차지했다. 총 수출액 3575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은 19.6%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수출 실적은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14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올해 1~7월 대중국 수출은 1년 전보다 25.9% 줄었다.

    중국 경제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수출 플러스를 달성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추 부총리도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10월 수출 플러스를 달성할 것"이라며 '상저하고' 전망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지만, 중국 경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추 부총리는 "만약 중국 경제 불안이 장기화하는 등 외부 불안 요인이 커지면 경제 전망을 다시 수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17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수출지역과 품목 다변화 등의 수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한국은행이나 경제계에서는 탈(脫)중국 필요성을 언급하며 수출지역과 품목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정부도 이에 공감하며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추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우리 경제는 수출 감소세가 둔화하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본격적인 반등을 위해서는 범부처적인 수출지원 역량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품목·지역 다변화 등 구조적 수출 대책도 보완해 추가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