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지난해 韓 게임 8종 외자 판호 발급한한령 회복 움직임에 55조원 수출길 열려확률형 아이템 제한 등 고강도 규제안도 제시"실적 개선 긍정적" vs "수익 기대감 불투명"
-
최근 중국 정부가 '판호(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권)' 발급 확대에 나선 한편, 온라인 게임 산업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내놨다. 게임업계는 55조원에 달하는 중국 게임 시장에 물꼬가 트였다는 점에서 환영하지만, 규제 강화 기조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0일 중국 국가신문출판국(NPPA)에 따르면 지난해 8종(3월 5종, 11월 3종)의 한국 게임에 외자 판호를 발급했다. 중국은 심의를 거친 자국 게임사 게임에 '내자 판호'를, 해외 게임사 게임에는 '외자 판호'를 발급해 서비스를 허가한다. 앞서 중국은 2017년 3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에 따른 한한령보복 차원에서 빗장을 걸어 잠갔다. 이후 컴투스가 2020년 12월 '서머너즈워'로 첫 판호를 발급받은 데 이어 펄어비스가 2021년 '검은사막 모바일' 판호를 발급받으면서 물꼬를 텄다. 2022년 한국 게임에 대한 외자 판호를 7종으로 늘린데 이어, 2023년에도 8종의 한국 게임을 허가하면서 사실상 한한령 분위기가 해제됐다는 분석이 높았다. 2023년 중국 게임시장 규모 예상치는 3029억 6400만위안(약 55조원)으로 2022년 대비 13.9%가량 증가했다. 게임산업 최대 수출국의 길이 열리면서 판호를 발급받은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위메이드 등 주요 게임사들의 주가도 덩달아 뛰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고강도 게임 규제를 들고 나오면서 업계의 분위기는 급반전했다. NPPA가 지난해 연말 발표한 '온라인 게임 관리 방법' 입법안에는 ▲접속 유도 보상 금지 ▲P2E 규제 명문화 ▲확률형 아이템의 미성년자 제공 금지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규제 초안 공개 직후 중국 1, 2위 게임사 텐센트와 넷이즈의 주가는 각각 13.5%, 26.8% 떨어지기도 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중국 정부는 "관련 부처와 기업, 이용자 등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규제안의 큰 틀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거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물꼬가 트였지만, 게임 규제 분위기를 감안했을 때 마냥 '기회의 땅'으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시각이다. 증권가에서도 게임사의 부진한 실적을 메꿀 기회라는 해석과 오히려 독화살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엇갈린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판호가 추가 발급된 만큼 2024년 중국에 게임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업체들은 긍정적"이라며 "위메이드, 넷마블, 데브시스터즈, 엔씨소프트 등은 게임의 출시 일정이 구체화하는 시기에 우호적인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의 규제 움직임에 중국 게임 시장의 회복 기대감은 불투명해졌다"며 "배틀패스, 확률형 아이템 등의 BM(수익모델)을 통한 수익이 크게 감소하고, RPG(역할수행게임)들은 더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