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실업률 3.7%, 전월比 0.4%p 상승… 실업자 107만여 명구직단념자 39만 명대, '상승전환'… 직전보다 3만명 늘어KDI, 민간소비 전망치 '하향조정'… "개선 기대하기 어려워"
  • ▲ 구직활동 중인 청년들. ⓒ뉴데일리DB
    ▲ 구직활동 중인 청년들. ⓒ뉴데일리DB
    지난달 실업률이 최근 1년 새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경제고통지수'도 덩달아 반등해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인 '6.5'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였던 1년 전과 비교하면 낮아진 수치지만, 국민이 체감하는 '경기 한파'는 여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인구 실업률은 3.7%로 집계됐다. 직전 달보다 0.4% 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해 최고 실업률을 기록했던 1월 3.6%보다 0.1%p 증가했다.

    실업자는 60세 이상, 30대 등에서 증가해 총 107만2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1년 전 102만4000명 대비 4만8000명 늘어난 수치다. 최근 3개월간 추이를 보면 지난해 10월 실업자는 62만7000명, 11월은 67만7000명, 12월은 107만2000명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지난달 39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1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지난달 처음 상승 전환됐다. 직전 달보다는 3만 명쯤 늘어났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구직활동 증가에 따른 경쟁률 상승으로 실업률이 늘어날 수도 있는 등 해당 통계는 긍정과 부정 양면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실업률 증가와 함께 구직단념자도 늘어난다는 것은 부정적 측면을 확인시켜주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결국 노동시장 활성화와 경기회복이 여의치 않다는 의미로 읽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도 덩달아 상승했다.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해 산출하는 해당 지수는 경제적 고통 정도를 측정한 지표를 말한다. 지수가 높을수록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전달 경제고통지수는 물가상승률 2.8%와 합산해 6.5였다. '역대급'으로 불렸던 지난해 1월 8.6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지만, 실업률은 더 높아졌다.

    지난해의 경우 경제고통지수는 1월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월 7.8 △3월 7.1 △4월 6.5 △5월 6.1 등으로 내림세를 보였다. 이번 지수는 지난해 4월 수준으로 다시 높아졌다. 실업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현재 내수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놨다. KDI가 지난 14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민간소비를 기존 전망치보다 0.1%p 감소한 1.7%로 하향조정됐다. 상품 소비와 서비스 소비 모두 부진한 가운데 금리 영향을 특히 더 많이 받는 상품 소비가 더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민간소비 부진 원인인 고금리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올해는 민간소비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고통지수는 하나의 참고적인 지표일 뿐"이라면서도 "서비스 산업 등에서 실업률이 증가하면 내수가 둔화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민은 실질 소득이 오르고 물가가 안정됐을 때 경기 반등을 느낀다"며 "정부는 현 상황에서 재정정책을 통해 국민 일자리를 마련하고 소득증대를 위해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물가가 오른 상황에서 실업까지 겪게 된다면 개인과 가정은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며 "경제고통지수 상승은 자연스럽게 소비심리를 억제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기업 도산을 막고 실업자 가계에 대한 지원을 검토하는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