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다양한 검증·연구로 식생활 향상영국 환경식품농림부 ‘국제 식품분석 숙련도 평가’ 15년 연속 우수“국내 식품안전 수준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
  • ▲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개소식 현판식.ⓒ오뚜기
    ▲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개소식 현판식.ⓒ오뚜기
    오뚜기가 식품안전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정한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식품안전 인식 고취와 안전한 식품 공급을 위한 노력 이어간다. 

    오뚜기는 ‘식품안전과학연구소’를 통해 식품 안전성 확보에 적극 나서며, 국내 식품안전과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식품안전과학연구소’는 ▲식품안전 사전 예방 ▲식품 분석기술 연구 ▲지속가능한 연구환경 구축 등을 진행하며 전문 분석기술과 최신 분석장비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식품안전 검증과 연구를 진행하고, 다양한 국내외 학회에 참여하는 등 분석기술역량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1983년 오뚜기 식품연구소 소속 분석 파트로 시작한 식품안전과학연구소는 2005년 식품안전센터로 승격, 지난해 1월 식품안전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연구소로 개편·설립했다. 같은해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기업부설연구소로 공식 인정받았다.

    전문 분석기술과 최첨단 분석장비로 원료부터 생산, 유통 등 전 단계를 철저히 검증해 식품안전을 확보하고, 영양 등에 대한 분석·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선제적 식품안전 관리를 위한 ‘식품안전관리 사전예방 시스템’ 운영을 통해 유해물질 안전성 및 신규 원료·신제품 규격 적합성 검증 등을 진행한다.

    국내외(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FDA 등) 식품안전정보 데이터 수집 및 원료·제품별 위해 항목 분류,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하고, 위해도 등급화를 토대로 안전성 검증을 실행한 후 분석 결과를 데이터화해 관련 부서에 공유, 관리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다. 현재 기준,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수집 및 DB 활용은 11만8872건, 2023년 품질 및 안전성 검증(항목: 이화학, 미생물, 분자생물)은 2만527건에 달한다.

    식품안전 관리를 위한 안전성 검증과 연구도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하고 있다. 식품안전관리 및 연구분야로는 ▲유해물질 저감화 연구 ▲식품분석법 개선 연구 ▲잔류 오염물질 분석(잔류농약 등) ▲환경오염물질 분석(중금속, 방사능핵종 등) 등이다.

    OEM 협력사 등 대상으로 ‘식품안전 상생 아카데미’도 개최해 식품안전역량 향상을 지원하는 한편, 국내 기준규격 개선에도 참여하며 국내 식품안전 발전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분석 능력은 국제 기관을 통해서도 인정받으며 공신력을 확고히 했다. 영국 환경식품농림부 식품환경연구청(FERA)이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분석기술력 평가 프로그램인 ‘국제 식품분석 숙련도 평가(FAPAS,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에서 15년 연속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오뚜기 관계자는 “식품안전과학연구소는 체계적인 사전예방 시스템을 통해 제품 안전성 제고는 물론, 다양한 영역의 연구활동, 식품안전관리 역량 지원으로 식품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식품안전의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고, 국내 식품안전 수준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