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비롯해 계열사 CEO 참석지배구조 흔들 초유의 상황 봉착재산분할 1.4조 마련 방안 논의
  • SK그룹이 최태원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항소심 결과를 두고 긴급 대책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 서린사옥에서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재로 수펙스추구협의회 임시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 등을 논의 중이다.

    이날 회의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해 대법원 상고뿐 아니라 아니라 향후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누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항소심 선고 결과로 SK그룹의 지배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달 30일 서울고등법원 가사2부는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두 사람의 합계 재산을 약 4조115억원으로 본 재판부가 재산분할 비율을 최 회장 65%, 노 관장 35%로 정한데 따른 조치다. 이는 지난 2022년 12월 1심이 인정한 위자료 1억원과 재산분할 665억원에서 20배 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이번 판결로 SK그룹은 지배구조까지 흔들릴 수 있는 초유의 상황을 맞딱뜨린 상태다. 

    최 회장의 핵심 자산은 SK㈜ 지분(17.73%)으로 이를 통해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 SK스퀘어 등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다. 특수관계인 지분을 합쳐도 25.44%에 그쳐 지배구조가 튼튼한 편이 아니다. 여기에 부동산 등 다른 재산 규모는 크지 않다. 

    현재 최 회장의 지분가치는 2조원 수준으로 현금 1조원를 마련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최 회장이 지분을 담보로 대출을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주식 재산의 상당 부분이 담보로 잡혀 있는 것은 문제다. 

    최 회장은 SK(주) 주식 5.45%를 담보로 4895억 원을 대출받은 상태다. 남은 지분 12.28% 중 4.33%는 다시 SK실트론 주식의 총수익스와프(TRS)를 위해 질권 설정됐다. 이에 따라 SK실트론을 상장해 지분 가치를 올려 담보대출로 활용하거나 매각을 통해 현금확보에 나설 수 있다는 방안이 나온다. 

    한편 최 회장은 이달로 예정된 SK그룹 확대경영회의와 해외 출장 등의 일정을 예정대로 수행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