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침수 취약계층 4500명 발굴 … 집중 지원이웃 주민으로 구성된 대피도우미와 1대1 매칭정부, 주민대피 관련 인력 대상 맞춤형 교육 실시
  • ▲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송파구 탄천공영주차장 수변 일대에서 열린 '2024년 강남구 안전한국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강남역, 반지하, 전기차 등 도심호우·침수피해 발생 상황을 가정한 긴급구조훈련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지난달 31일 오후 서울 송파구 탄천공영주차장 수변 일대에서 열린 '2024년 강남구 안전한국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강남역, 반지하, 전기차 등 도심호우·침수피해 발생 상황을 가정한 긴급구조훈련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여름철 풍수해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침수 취약층을 발굴해 1대1 '대피 도우미'를 지원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침수 취약계층 약 4500명을 발굴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침수 취약계층은 기존에 침수 피해를 겪었거나 반지하주택 등 침수 위험이 높은 곳에 거주하는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홀로 생활하는 장애인 등이다.

    침수 취약계층은 이·통장, 자율방재단 등 지역 상황을 잘 아는 이웃 주민들로 구성된 대피도우미와 1대1 매칭돼 상시 관리된다.

    대피 도우미는 기상 위험이 예보될 경우 매칭된 취약계층 가구 주변의 배수로 막힘이나 대피 장애물을 살피는 등 사전 예찰 활동을 벌인다.

    또 주민대피 담당 공무원에게 대피 지원 연락을 받거나 침수위험이 예상될 경우 취약계층 가구를 직접 방문해 안전한 대피를 지원하게 된다.

    임산부·노인·장애인 등이 119 신고할 경우 등록된 신고자의 취약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출동하는 서비스인 '119안심콜 서비스'와도 연계한다.

    예를 들어 침수 취약계층이 119로 신고하면 119구급대는 사전에 등록된 침수 취약계층 정보를 확인한 후 대피 도우미와 공동 대응한다.

    행안부는 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주민대피 담당 공무원과 대피 도우미를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지자체별로 자체 훈련을 진행해 실제 현장에서 취약계층의 신속한 대피에 필요한 사항도 계속 점검·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이번 여름철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힘을 모아 장애인,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신속한 대피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