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방 가동률 34% 수준으로 축소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요구 휴진 당일 집회·심포지엄 참석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무기한 파업은 번복 없이 진행될 전망이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막판 협상카드로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하고 수용시 투쟁 보류 입장을 냈지만, 서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휴진을 강행할 방침이다. 

    16일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는 오는 17일 전체 휴진을 앞두고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휴진 참여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 967명 중 54.7%에 해당하는 529명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했다. 

    특히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합계 수술장 예상 가동율은 62.7%에서 33.5%로 낮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모든 진료과에서 휴진에 참여하기로 했다. 

    비대위 측은 "휴진으로 진료 예약 변경이 된 경우 개별 교수 자체적 또는 비대위 지원을 통해 환자께 알리고 있다"며 "해당 조치는 마무리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날 의협 측은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및 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행정명령 및 처분 즉각 취소,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을 요구하며 정부가 수용할 시 휴진 보류를 언급했다. 

    하지만 이는 오는 18일 의협 주도의 전면 휴진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울대병원 교수는 예정대로 무기한 휴진을 감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서울의대 소속 교수들은 휴진 당일인 17일 오전에 서울의대 융합관 안윤선홀에서 집회와 행사에 참여하고 오후에는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연다. 

    이날 오전 비대위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과 비공개 면담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행정조치를 취소하고 상설 의·정 협의체를 구성하며 의대 정원 관련 의료계와 논의를 해달라는 입장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복지위는 의대증원에 따른 집단휴진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9일 전체회의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이기일·박민수 1·2차관의 출석을 요구한 상태다. 

    의정 갈등이 지속되는 예고된 가운데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고위 당정대 회의에서 의료계를 향해 "환자와 가족들은 적절한 진료를 받지 못할까 봐 불안해하고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국민의 호소에 귀 기울여 현명한 판단을 내려줄 것을 간곡하게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