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 저항론 주장 … 증원 재조정·전공의 처분 취소 등 요구중증·응급 체계 유지 선언했으나 의료현장 불편환자단체들 "정부 투쟁 위해 환자 볼모, 즉각 휴진 철회"
  • ▲ ⓒ정상윤기자
    ▲ ⓒ정상윤기자
    서울의대 교수들 절반이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당초 예고했던 무기한 휴진을 일주일만 진행하는 것으로 방침을 조정했다가 다시 기약 없는 상태로 돌아갔다. 전국에서 중증질환자가 몰려드는 서울대병원의 특성상 환자 피해는 극심할 전망이다. 

    17일 서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절반이 넘는 교수들이 휴진을 한 이유에 대해 "근거 없는 의료정책 강행을 온몸으로 저항하는 것"이라며 "현장을 모르는 정책 결정권자가 의료를 망치는 것을 두고 보지 않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전공의 관련 행정처분 취소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2025년도 의대정원 재조정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정부가 해당 안건을 수용한다면 휴진을 철회하고 대화에 참여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 입장에서 이미 의대증원 절차는 종결된 사안으로 보고 있고 환자들의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휴진 상태에서도 중증 질환자들을 보호하겠다는 것이 서울의대 비대위의 입장이지만 환자들은 예약 변경과정에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한국의료를 상징하는 공간이자 국립대병원을 대표하는 서울대병원에서 정책 반대를 위해 환자를 볼모로 삼았다고 뭇매를 맞는 상황이라 여론은 이미 돌아선 상태다. 무기한 휴진은 사실상 실현 불가능하다는 중론이다. 

    이날 강희경 서울의대 비대위원장은 "태도 변화가 없는 정부를 향해 계속 휴진을 진행할 수는 없다”며 "무기한이 아닌 일주일. 그 이후엔 일정을 조절할 계획은 없고 그럴 일도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는 기존의 입장에서 투쟁 방침이 대폭 전환된 것이다. 위원장의 개인 의견이지만 교수들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언급한 내용에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이 발언은 비대위의 공식입장이 아니라는 해명자료가 배포됐다. 비대위는 "일주일 휴진은 사실과 다르다"며 "다음 주 일정 역시 변경되지 않은 상태"라고 했다. 

    방재승 서울의대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으면 의료가 붕괴된다는 것은 확실한 부분"이라며 "정부가 끝까지 안 들어주면 휴진을 철회하고 항복 선언을 해야 하겠지만 이후 의료 붕괴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했다. 

    서울의대 비대위가 4개 병원(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20개 임상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967명의 54.7%에 달하는 529명이 휴진에 참여했다. 이에 따라 수술장 가동률은 기존 62.7%에서 33.5%로 급격히 떨어진다. 

    일주일간 휴진을 유지해도 환자 피해는 걷잡을 수 없게 커진다. 중증, 희귀 질환 대응체계는 유지한다고 밝혔으나 이미 배후진료 연결 등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다. 진료 거부로 인해 수개월 이상 대기해야 하는 환자가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와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주요 환자단체는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즉각적 휴진 철회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