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국토부·환경부·업계 맞손 … 8대 유망 서비스 모델 제시
  • ▲ 전기차 충전소ⓒ연합
    ▲ 전기차 충전소ⓒ연합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환경부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업계와 함께 머리를 맞댄다.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는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된 이후부터 충전, 정비·교체, 탈거·운송, 재제조·재사용·재활용까지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각종 서비스를 의미한다. 아직은 관련 산업이 본격 성장 전이나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산과 함께 미래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18일 산업부 강경성 제1차관, 국토부 백원국 제2차관, 환경부 임상준 차관이 공동 주재하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간담회가 개최됐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업계가 직접 선정한 8대 유망 서비스 모델이 제시됐다.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춰줄 구독 서비스와 금융 서비스, 배터리를 더 오래·안전하게 쓰도록 돕는 성능 진단 서비스, 전기차 배터리로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탄소 크레딧 거래 서비스와 전력 거래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산업·국토·환경 등 3개 부처와 업계가 함께하는 민·관 공동 협의체도 공식 출범한다. 이를 통해 정부와 업계는 8대 유망 모델을 포함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민·관 공동 협의체는 업계가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상시 소통창구로서 역할을 할 계획이다.

    정부와 업계는 이번 협의체를 통해,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성능평가, 운송·보관 등 공통의 기준 마련, 배터리 교체, 이동형 충전 등 유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실증사업 추진 등에서도 함께 협력할 예정이다.

    강 1차관은 "배터리 서비스 산업이 최근 전기차 캐즘(수요 성장세 둔화)으로 어려움을 겪는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며 "산업부는 유관 부처와 함께 자동차-배터리 산업간 협업 촉진, 킬러서비스 모델의 집중 육성, 관련 제도 정비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사전 행사로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기업들이 직접 자사의 서비스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비즈니스 포럼이 개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