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의대증원 재논의 등 3개 조건 수용 요구휴진 명분 '밥그릇 챙기기' 아니라고 주장의사들 가운 벗고 여의대로서 결집 … 의료공백 심화
  • ▲ 18일 대한의사협회는 여의도 여의대로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종현기자
    ▲ 18일 대한의사협회는 여의도 여의대로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종현기자
    의료계가 의대증원 정책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전시 수준의 의료공백을 발생시키는 전체 의사 '무기한 휴진'을 오는 27일부터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의사들의 투쟁 강도가 높아질수록 생사의 영역에 놓인 환자들의 불안감도 커진다.

    18일 의협은 의사회원을 대상으로 집단휴진을 독려하고 여의도 여의대로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임현택 의협회장은 "국민건강을 나락에 떨어뜨리는 이들을 심판해야 한다"며 "관치주의, 후진의료에서 벗어나 전문가 중심으로 선진의료로의 대변혁을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에는 ▲의대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수정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 취소 등을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임 회장은 "만약 위의 3가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의료계는 오는 27일부로 전면적으로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의료계 대표자 및 자유발언 등에서 "휴진의 명분은 의사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라 국민과 환자가 잘못된 의료체계 내에서 피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공통적으로 제기됐다. 

    총궐기대회는 의대생부터 의대 교수까지 전 의사 직역이 참여해 여의대로를 가득 채웠다. 특히 사전 휴진 신고 4%에 불과했던 개원가 참여가 컸는데 이들은 오전 진료만 하고 오후 휴진을 하는 형태로 참여했다.
  • ▲ 18일 대한의사협회는 여의도 여의대로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종현기자
    ▲ 18일 대한의사협회는 여의도 여의대로에서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종현기자
    의사들이 '끝까지 투쟁'에 힘을 싣는 동안 환자들은 불편을 겪었다. 예약 시스템이 없는 동네의원을 방문한 환자들은 발길을 돌렸고 전날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각 대학병원에 다니는 환자들은 외래 변경 등 피해를 봐야 했다. 

    이에 각 지역별 커뮤니티, 맘카페 등에서 '휴진 의원 명단'이 공유되는 등 대응이 있었다. 국민들이 직접 대응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특히 생사의 영역에서 두려움에 떨고 있는 환자들 역시 날 선 발언을 이어가며 불법의사를 처벌해달라고 강조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정부는 더 이상 의사들의 불법행위를 방치해선 안 된다. 그간 미온적 대응이 사태악화를 불러와 정부와 국민 알기를 우습게 여기는 특권층으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법을 공정하게 집행해 힘 있는 자든, 없는 자든 모두가 법 앞에 평등하다는 헌법가치를 확립해야 한다"며 "불법에 가담한 의사들을 예외없이 행정처분과 사법처리, 그리고 면허박탈을 실시하라"고 압박했다. 
     
    정부 역시 이날 의협 주도 집단휴진에 맞서 업무개시명령, 공정위 신고 등 조치를 취한데 이어 의협 해산 등 고강도 대응을 예고했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의협은 국민건강 증진 등 사회적 책무를 부여 받은 법정 단체"라며 "(설립 취지에 위배되는 행위를 한다면) 시정명령을 내릴 수 있고, 이를 따르지 않는다면 임원변경은 물론 법인의 해산까지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