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내부통제 FDS 구축…임직원 부정거래 예방기업은행, 상환자금거래 시스템 제어…횡령 가능성 차단 내부통제 강화에도 잇따른 횡령‧배임…사람의 문제 부각이복현 "제도만으론 사고 예방 한계…의식 변화해야"
  • ▲ ⓒ연합뉴스 제공
    ▲ ⓒ연합뉴스 제공
    ‘열 사람이 도둑 하나 못 잡는다’고 하는 것처럼 은행권이 금융사고를 막기 위한 내부통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음에도 횡령‧배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제도 개선만으로는 사람의 의도적인 범죄행위를 걸러내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AI(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내부통제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를 위해 AI를 적용한 ‘내부통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내부통제용 FDS에는 AI 등 데이터 분석·예측 기술 및 각종 사고 탐지 솔루션이 활용될 예정이다.

    은행권에 이상거래탐지시스템이 도입된 사례는 많지만 주로 외부 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활용돼 왔다. 국민은행은 내부 평판 리스크를 관리하고 금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신기술을 기반으로 이상거래탐지시스템을 임직원 부정거래 예방 용도로 확장할 계획이다. 

    IBK기업은행은 약 60억원 규모의 사업예산을 편성해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여신사후관리시스템 구축에 착수했다. 기일관리 자동화를 통해 기일 누락에 따른 예상치 못한 손실을 방지하고 상환자금 거래 등도 시스템 제어로 횡령 가능성을 차단해 운영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기업은행은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이 넓어지는 만큼 내부통제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주요 은행에서 발생한 횡령‧배임사고는 금융소비자는 물론 금융권 내부에서조차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우리은행에서 고객 대출금 100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지난 13일 구속된 대리급 직원 A씨는 올해 초부터 기업대출 여러 건을 조작하며 치밀한 준비를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원이 돈 세는 것을 CCTV로 다 확인할 정도로 점검 절차는 수차례 강화돼 왔지만 사람이 사고 내려고 마음 먹으면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며 제도 개선만으로는 의도적 사고행위를 막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AI 등 디지털 기술은 이처럼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제도의 구멍을 보완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박해식 금융연구원 부원장은 “금융업계에 AI의 활용이 확산되면 업무 효율화에 따른 비용절감, 금융상품 및 서비스 개발 확산, 내부통제 고도화 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다음 달 책무구조도 도입을 앞두고 사람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제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금융사고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는 책무구조도는 금융회사 개별 임원에게 내부통제 관리 책임을 배분하고 사고 시 명확한 책임을 묻도록 규정하는 문서다. 

    이복현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불완전판매와 금융사고로 이어지는 임직원들의 잘못된 의식과 행태의 근본적 변화 없이 제도 개선이나 사후 제재 강화만으로는 이를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준법 및 윤리의식이 조직 내 모든 임직원들의 영업행위 및 내부통제 활동에 깊이 스며들 수 있도록 '조직문화' 차원에서 과감한 변화를 기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