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청문회서 의정갈등 해결 분수령 맞을지 촉각세브란스·서울아산 휴진 예고됐지만 참여율 낮을 듯의협 선언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실행 가능성 ↓분노한 환자들 반격 … 개별 의원 고소에 이어 대규모 집회
  • ▲ ⓒ정상윤 기자
    ▲ ⓒ정상윤 기자
    서울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접었고 전공의가 참여하지 않는 투쟁의 동력은 점차 상실되고 있다. 넉 달 넘게 피해를 감내했던 환자들의 분노가 극에 달했다. 이에 의료계 역시 '대화'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기 시작했다. 이번 주 예고된 의대증원 국회 청문회 등을 계기로 변화의 분수령을 맞을지 주목된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정상 진료를 한다. 휴진 중단의 이유는 '중증환자의 실질적 피해, 외면하기 어려운 환자 목소리' 등이다. 

    휴진 투쟁의 선발대였던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입장을 전환하면서 타 병원 또는 단체 차원에서 전면, 무기한 휴진 실행은 폭력적 행위로 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분위기 속 투쟁 강행은 더 거센 국민의 반발을 맞닥뜨려야 한다.

    오는 27일 세브란스병원 무기한 휴진, 7월4일 서울아산병원 일주일 휴진 등이 예고됐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실제 이행되더라도 참여율은 미흡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지난 18일 전국의사 여의도총궐기 대회에서 "27일부로 (전체 의사) 무기한 휴진 돌입"을 선언했지만 이에 대한 내부 결론은 나지 않았다. 

    오히려 의협 대의원회, 시도의사회 등과 사전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내홍이 거세지는 요인이 됐다. 이에 휴진 투쟁을 논의하는 의협 산하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회의에서 해당 안건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자제했다. 

    애초에 이번 사태의 쟁점은 '전공의 집단이탈과 복귀'인데 전공의는 어떤 협의체에도 참여할 의사가 없다. 이미 대다수가 의료현장에서 떠난 상황이라 휴진의 의미도 존재하지 않는다. 

    지난 2월 집단 사직서 제출 시점에 맞춰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은 의대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철회 등 7대 조건을 내걸었고 모든 요구가 수용되지 않는다면 복귀 의향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방침을 고수하는 가운데 선배 의사들의 "제자를 보호하자"는 투쟁의 목적은 퇴색됐다. 오히려 환자 피해를 발생시키는 휴진은 국민을 공분에 휩싸이게 했다. 

    결국 올특위가 투쟁의 방향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의정협의에 참여해 대화를 하겠다고 '톤다운' 한 것은 사태 해결을 의지로도 해석된다. 또 이번 주 열리는 국회 청문회 등에서 다양한 의견이 오갈 것으로 예상돼 의정 갈등을 푸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집단 휴진 문제는 환자들이 고통이 분노로 전환되면서 진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실제 경기 광명시 소재 의원을 대상으로 환자가 휴진 관련 고소를 했고, 환자단체들이 모여 7월4일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는 등 본격적 대응에 나섰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대증원 정책 자체는 반대는 하지만 환자를 포기하고 투쟁에 돌입하는 것은 얻을 것이 없다. 의사라는 직업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반대의견을 낼 것"이라는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