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술지 첫 발표, 빠른 투여 가능해 실용성 높아다발골수종 재발 환자 대상 무진행 생존기간 3배 연장 확인
  • ▲ ⓒ서울성모병원
    ▲ ⓒ서울성모병원
    다발골수종은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암세포가 뼈를 침범해 골절, 빈혈, 신부전 등 심각한 합병을 유발하는 난치성 질환이다. 첨단 면역제제인 '이중항체 치료제'가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 의료진이 긍정적 치료효과를 입증한 연구를 발표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박성수(공동교신저자)·민창기(공동교신저자),가톨릭대학교 약리학교실 최수인(공동제1저자) 교수 연구팀은 국내 도입된 이중항체 치료제의 효과를 입증한 첫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기존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이중특이항체 치료군(71명)과 기존 표준 치료군(71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이중특이항체 치료군에서 질병이 진행되지 않고 생존하는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이 기존 표준 치료 대비 약 3배 가량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항암 치료에는 부작용이 따르지만, 이중항체 치료제는 기존 치료와 비슷한 수준의 부작용을 보였으며, 대부분 조절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했다. 

    일부 환자에서 면역반응이 나타났으나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고 빈혈, 혈소판 감소 등 혈액관련 부작용도 기존 표준 치료와 큰 차이가 없어 안전성이 확인됐다. 다만, 감염 발생 가능성을 주의해야 하며, 이를 치료 과정에서 지속 관리하는 것이 중요했다. 

    민창기 교수는 "다발골수종은 인구 고령화로 국내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을 뿐 아니라, 재발이 잦아 환자분들이 두려워하는 혈액암"이라며 "다른 치료법 적용이 어려웠던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성수 교수는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최초의 이중항체 치료제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지만 이중항체 치료를 받는 경우, 감염의 위험이 높으므로 치료시작 전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개발지원사업(RS-2023-00216446)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세포치료학회지(Transplantation and Cellular Therapy)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중항체 치료제의 장기적인 효과와 최적의 활용 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