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차원 조치 … 사유·공공시설 복구비 국비로 지원의성·산청·울산 등서 산불로 사흘간 3286㏊ 불타
  • ▲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께 경남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산림당국은 인력과 장비 등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으나 산불이 확산하며 오후 6시 40분께 '산불 3단계'를 발령했다. ⓒ산림청
    ▲ 지난 21일 오후 3시 26분께 경남 산청군 시천면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산림당국은 인력과 장비 등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으나 산불이 확산하며 오후 6시 40분께 '산불 3단계'를 발령했다. ⓒ산림청
    정부가 대형산불 피해를 입은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23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시작된 경남 산청 산불은 이날 오전 7시 기준 1329㏊ 산림을 태웠지만, 아직도 진화율은 30%에 그치고 있다.

    이번 산불로 주민 335명이 대피했고 주택 10가구가 전소했다. 앞서 22일 오후 산불을 진화하던 진화대원 등 4명이 사망하고, 부상자도 중상 5명을 포함해 총 6명 발생했다.

    경북 의성 산불 역시 23일 오전 7시 기준 1802㏊의 산림을 태웠고, 진화율은 2.8%에 그쳐 있다. 주택 24가구가 전소했고, 5가구는 일부가 불에 탔다. 주민 951명이 의성체육관과 점곡체육과 등으로 대피해 있고, 산림 당국은 헬기 50대와 인력 1356명을 동원해 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울산 울주 산불은 산림 85㏊를, 경남 김해 산불은 70.11㏊를 불태웠고, 진화율은 각각 70%, 20%다. 산불로 대피한 주민은 울주 80명, 김해 148명이다.

    행안부는 22일 오후 5시30분 중대본을 구성하고, 이어 오후 6시에는 울산·경북·경남 지역에 재난 사태를 선포했다.

    정부는 이번 산불 피해를 신속하게 수습하고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결정했다.

    대형산불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된 것은 이번이 여섯번째다.

    그간 2000년 강원 동해안 산불, 2005년 강원 양양군 산불, 2019년 강원 동해안 산불, 2022년 경북·강원 동해안 산불, 2023년 4월 충남 홍성 등 산불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다.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면 관련 법령에 따라 피해자 지원을 비롯한 범부처 차원의 조치가 이뤄진다. 정부는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유 시설과 공공 시설에 대한 복구비 일부를 국비로 지원하게 된다.

    피해 주민에 대해서는 생계 구호를 위한 생활 안정 지원과 함께 지방세 등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 간접 지원이 추가적으로 이뤄진다. 구체적인 지원 사항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를 통해 마련할 방침이다.

    중대본부장인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