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2024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남성·청소년 비중 높아, 메타버스 상 피해 급증
-
- ▲ ⓒ방송통신위원회
국내 청소년 42.7%, 성인 13.5%가 온라인 상에서 욕설 등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2024년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초등 4학년~고등 3학년 청소년과 만 19~69세 성인 등 총 1만7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사이버폭력 현황과 인식 등에 대한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42.7%, 성인 13.5%가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응답했다. 전년 대비 청소년은 1.9%p, 성인은 5.5%p 증가한 수치다.사이버폭력 증가세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편견과 차별을 표현하는 ‘디지털 혐오’와 ‘디지털 성범죄’ 같은 부정적 콘텐츠에 노출되는 정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성별과 연령으로 보면 남성 비중이 청소년과 성인에서 모두 높았다. 연령대로 봤을 때 청소년은 중학생, 성인은 20대가 사이버폭력 경험 비율이 높았다.사이버폭력은 청소년과 성인 모두 언어폭력에 의한 경험이 제일 많았다. 청소년의 경우 욕설(44.8%)과 희롱(19.6%) 비율이 높았다. 성인은 희롱(35.1%)과 조롱(28.5%), 욕설(21.5%) 등의 순으로 피해를 경험했다.사이버폭력이 발생하는 주요 경로는 청소년·성인 모두 문자와 인스턴트 메시지였다. 특히 청소년은 메타버스 상에서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2.4%에서 18.5%로 16.1%p 증가했다.이러한 사이버폭력을 가하는 이유로 청소년·성인 모두 각각 38.5%, 40.3%의 비중으로 ‘보복’이라고 답했다.방통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해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을 확대하고 디지털 혐오 와 성범죄, 사이버 언어폭력을 중심으로 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배포할 예정이다.이진숙 방통위원장은 “디지털 혐오와 사이버 명예훼손 등 사이버폭력이 계속 늘고 있다”며 “올바른 디지털 활용 문화를 확산하는 한편 관계기관과 협력을 지속 강화해 사이버폭력에 대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