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상황에 따른 '학사 유연화' 계획 없어
-
-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장들이 조기 대선 국면이라는 정치적 상황과 학칙은 별개의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새 정부가 출범해도 학사 유연화 조치는 없을 것이라며 수업 거부 투쟁 중인 의대생들을 향해 유급 시한 전 복귀를 당부했다.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의 목표는 확고하고 올해에는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다. 의대와 학장 역시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학생 스스로 피해가 없도록 책임 있게 행동해야 한다"고 15일 입장을 냈다.대통령 탄핵 이후 새 정부 출범 등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학사 유연화 등 조치가 발생할 것이라는 의료계 일각의 분석은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학장들은 "통상 유급 결정은 학기 말에 이뤄지며, 결정 전에 소명 절차가 진행된다. 그러나 올해는 의대생들의 유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대학은 유급 시한이 도달하는 시점에 다양한 방법으로 유급 예정을 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문제는 의학과 4학년이다. 이들은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고대의대를 시작으로 수업 거부 학생 유급 통보가 시작됐다.학장들은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원서접수는 졸업생이나 졸업예정자만 가능한데, 각 대학이 정한 1학기 성적 마감까지 임상실습과 평가를 마무리하지 못해 유급되면 원서접수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24·25학번 분리 교육 방안 역시 올해 1학기 유급 시한 전에 수업에 참여해야 의미가 있다"며 "정해진 수업 참여 기한을 넘겨 후배의 미래와 의사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모두 숙고해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