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남은행 분리 매각 안해공자위, 블록세일.수의계약 등 대안 검토
  •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이 중단되고 새로운 매각 방안이 마련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7일 본회의를 열고 우리금융 민영화 절차의 진행 여부를 논의한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

    민상기 공자위 공동위원장(서울대 교수)은 이날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입찰 절차를 형식적으로 진행해 시장에 불확실성과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보다는 현재까지의 시장 테스트를 토대로 더욱 건설적인 대안의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민영화 대의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최근 우리금융 컨소시엄의 입찰 불참 선언으로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무리하게 입찰 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고 시간만 끌어 민영화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공자위는 또 우리금융과 별도로 입찰참가의향서(LOI)를 받았던 우리금융의 자회사인 광주은행과 경남은행의 매각도 중단키로 했다.

    민 위원장은 이들 지방은행을 분리 매각하지 않기로 결정한 배경에 대해 "지주사 입찰의 유효경쟁이 어려울 경우 지방은행 인수희망자의 제안들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측면에서 비교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공자위는 지난 7월30일 발표한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에 따른 입찰이 무산됨에 따라 조속히 대안을 마련키로 했다.

    민 위원장은 "정부 보유 지분을 민간에게 일시에 넘기는 민영화가 현재 여건에서 어렵다면, 효율성과 기업가치를 높이는 민영화 정신을 최대한 살릴 매각방법이 있는지 논의해 추진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자위는 블록세일(소수 지분 매각)과 수의계약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한 뒤 대안을 발표하기로 했지만 정확한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2001년 공적자금이 투입된 5개 금융회사를 자회사로 거느리며 출범한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또다시 표류하게 됐다.

    이명박 정부도 출범 초기부터 우리금융 민영화에 나서겠다고 천명했지만,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맞으면서 지연됐다.

    정부는 2004년 9월 우리금융 지분 5.7%를 분산 매각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7년 6월 5%, 2009년 11월 7%, 올해 4월 9%를 매각해 현재 56.97%의 지분을 갖고 있다.

    민 위원장은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이 우리금융 컨소시엄의 입찰 불참 선언 직후에 무산된 것과 관련,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결과적으로 국민과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점을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