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가서 언급되는 '명단' 중 솔로몬, 한국, 미래銀은 맞아들어솔로몬, 한국저축銀 수사과정서 성장과정 관한 의혹도 나올 듯
  • 6일 금융위원회가 2011년 하반기 적기 시정조치를 유예했던 저축은행 중 솔로몬저축은행과 한국저축은행, 미래저축은행, 한주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를 명령했다. 저축은행 예금자들은 지난 4일부터 이들 저축은행에서 돈을 빼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신의 예금을 찾지 못했다. 어떤 은행은 800여 명이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이 저축은행들은 왜 퇴출된 걸까. 

    업계 1위라는 솔로몬저축은행의 성장사

    이번에 퇴출된 저축은행에는 업계 1위라는 솔로몬저축은행과 그룹 전체로 보면 업계 1위인 한국저축은행이 포함돼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저축은행들의 특징은 1999년이나 2000년부터 불과 6~7년 남짓에 자산 5조 원을 넘는 거대 그룹으로 성장했다는 점이다.

    솔로몬저축은행은 임 석 회장이 2002년 당시 골드상호신용금고를 인수하면서 이름을 바꾼 곳이다. 임 회장은 1962년 4월 전남 무안에서 태어났다. 공고를 졸업한 뒤 1988년 美 퍼시픽 웨스턴大를 졸업했다고 ‘주장’한다. 사내 소개 자료에는 美 미라마 대학을 졸업했다고 한다. 이후 ‘한맥기업’이라는 광고 이벤트 회사를 운영해 ‘100억 원’을 벌었다고 한다.

  • ▲ 솔로몬 금융그룹의 지배구조. 임 회장은 솔로몬신용정보와 솔로몬저축은행을 통해 그룹을 이끌고 있다.
    ▲ 솔로몬 금융그룹의 지배구조. 임 회장은 솔로몬신용정보와 솔로몬저축은행을 통해 그룹을 이끌고 있다.

    임 회장은 DJ의 외곽조직으로 알려진 ‘새시대새정치연합청년회(일명 연청)’에서 조직국장을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 회장은 1997년 대선 이후에는 당시 여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의 ‘비상경제대책위원회’에서도 요직을 맡았다고 한다.

    임 회장은 1999년 ‘광고업’으로 번 돈에다 국민은행, 조흥은행, 하나은행 등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아 자본금 30억 원인 ‘솔로몬신용정보’를 설립했다. ‘솔로몬신용정보’는 개인사업자에 대한 채권추심과 신용조사, 금융실사 대행 등을 하는 회사였다.

    솔로몬신용정보는 창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업계 수위권을 차지했다. 그 중 조흥은행이 수조 원 대의 채권추심을 맡겨 큰 도움을 줬다는 소문도 있다.

    이를 본 사람들은 ‘당시 조흥은행장이 호남 출신 위성복’이라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 때문일까. 임 회장이 솔로몬신용정보를 통해 번 돈으로 골드상호신용금고를 인수한 뒤 위성복 前조흥은행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이 완 前조흥은행 부행장이 신임 사장으로 위촉됐다.

    이후에도 '고위층과의 인맥'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졌다. 한 번은 DJ 정부의 실세로 불렸던 B 의원의 동생이 사장으로 임명될 뻔 하기도 했다. 그는 정식 발령을 받기 전 2~3주 동안 출근도 했다고 한다.

    임 회장은 솔로몬상호저축은행을 인수한 뒤 2003년 2월에는 김영재 前금감원 부원장보(칸서스 자산운용 설립자)를 솔로몬그룹 총괄 부회장으로 영입했다. 김영재 부원장보는 금감원 '설립자'라는 이헌재 前경제부총리와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대변인이기도 했던 김 부원장보는 2000년 진승현 게이트에 관련돼 구속됐다가 상고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때문에 그의 솔로몬저축은행 영입을 놓고 다양한 ‘설’이 나오기도 했다.

  • ▲ 솔로몬 금융그룹의 지배구조. 임 회장은 솔로몬신용정보와 솔로몬저축은행을 통해 그룹을 이끌고 있다.

    이후 임 회장은 2005년에는 부산한마음상호신용금고를, 이어 전북의 나라저축은행을 인수해 자산 2조5,000억 원이 넘는 거대 저축은행 그룹으로 키웠다. 2008년 3월에는 KGI투자증권(舊조흥증권)을 인수해 ‘솔로몬투자증권’으로 바꿔 계열사로 편입시켰다.

    한편 임 회장은 '솔로몬금융그룹'을 운영하면서, 고려대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고 고려대 최고경영자과정 등에 다니며 대기업 회장들과도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 중에는 K그룹 L회장, H그룹 J회장 등이 임 회장과 어깨동무를 하며 반가워하는 모습이 선명하게 나와 있다. 임 회장은 고려대 정책대학원 총학생회장, 교우회 부회장도 맡았다고 한다.

    임 회장은 이렇게 솔로몬저축은행을 시작으로 2011년 말 기준 자산 7조3,000억 원 규모의 거대 금융그룹 오너가 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 삼성증권 등의 ‘투자 적극 추천’ 리포트 등을 통해 주가도 계속 올랐다. 

    M&A 귀재라던 윤현수 회장, ‘한국저축은행’ 인수 뒤 구속

    이번에 추가 퇴출된 저축은행 중 한국저축은행은 ‘한국종합금융그룹’의 주요 계열사다.

    ‘한국종합금융그룹’은 여러모로 독특한 회사다. 시작은 윤현수 회장이 1996년 설립한 ‘코미트 M&A’다. ‘코미트 M&A’는 권성문 KTB금융그룹 회장이 설립한 ‘한국 M&A’, 성보경 회장의 ‘프론티어 M&A’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인수합병 컨설팅을 했던 곳이다.

    윤현수 회장은 성균관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까지 받았다. 이후 산업은행을 거쳐 한외종금 국제금융부장으로 일하다 1996년 ‘코미트 M&A’를 창업, M&A 시장에 뛰어들었다. 외환위기를 전후해 다양한 인수합병을 성사시켰다.

    윤 회장은 1999년 회사이름을 ‘코미트 캐피탈’로 바꿨다. 2000년에는 서울 강남 논현동에 본점을 둔 ‘진흥상호신용금고’를 인수한 뒤 ‘코미트상호신용금고’로 이름을 바꾸고 경영자가 됐다. ‘코미트상호신용금고’는 2002년 3월 ‘한국저축은행’으로 이름을 바꿨다.

    ‘코미트 캐피탈’은 2002년 회사 이름을 다시 ‘JKM’으로 바꿨다가 구조조정전문기업(CRC)인 ‘씨앤씨캐피탈’을 설립하면서 합쳤다. 이와 함께 ‘코미트 창업투자’도 운영했다.

    하지만 ‘호사다마(好事多魔)’였을까. 2003년 2월 윤 회장은 구속됐다. 당시 언론보도에 따르면 윤 회장은 ‘벤처기업 프리챌로부터 투자 및 대출알선 등을 대가로 돈을 받았다’고 나온다.

    2003년 2월 11일 서울지검 형사9부(금융조사부. 이인규 부장검사)는 윤 회장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당시 검찰은 윤 회장이 2001년 3월을 전후로 자금난을 겪던 프리챌 전제완 사장으로부터 ‘코미트 창업투자’에서 30억 원을 투자하고 코미트신용금고에서 25억 원을 대출받도록 알선해주는 대가로 프리챌 주식 5만 주를 액면가 500원에 매입, 한 달 뒤 전 씨가 이를 주당 1만 원에 되사주는 방식으로 4억7,500여만원의 차익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윤 회장이 2002년 1월에는 프리챌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전 씨 등에게 12억 원을 대출해주고 리베이트 명목으로 5억 원을 받는 등 ‘가장 주금납입’도 저질렀다고 밝혔다.

    이 일로 윤 회장은 징역 1년 8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전제완 프리챌 사장 또한 구속돼 징역 2년 형을 선고받았다.

    2000년 초 ‘淨中動’이던 윤 회장, 몇 년 뒤 거대그룹 회장

    하지만 당시 금융가 일각에서는 이 일을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이전까지 보여준 윤 회장의 일처리 방식, 여기다 ‘프리챌 경영진 중 한 명이 몰래 적대적 인수합병을 계획한 뒤 문제를 일으켰다’는 전제완 당시 사장의 주장 등이 섞이면서 ‘표적 수사’라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모두 무시됐다. 이후 조용한 듯 보이던 윤 회장은 ‘씨앤씨 캐피탈’을 지주회사처럼 만들어 ‘한국저축은행’을 움직이며 다른 저축은행들을 인수할 준비를 시작했다. 윤 회장은 2000년 4월에는 증시에 상장된 ‘진흥상호신용금고를, 같은 해 9월에는 ‘경기상호신용금고’를, 2007년에는 부산의 부민저축은행을 인수했다.

  • ▲ 한국상호저축은행 본점. 이제 한국저축은행 그룹은 계열사를 포함하면 8조 원대에 이르는 자산을 보유한 금융그룹이 됐다.
    ▲ 한국상호저축은행 본점. 이제 한국저축은행 그룹은 계열사를 포함하면 8조 원대에 이르는 자산을 보유한 금융그룹이 됐다.

    인수된 상호신용금고는 각각 진흥상호저축은행, 경기상호저축은행, 영남상호저축은행으로 이름을 바꿨다. 2011년 말 현재 ‘씨앤씨캐피탈’은 한국저축은행을 중심으로 4개의 저축은행과 한국종합캐피탈, 진흥신용정보 등을 거느리고 있다.

    여기까지는 ‘성공담’이다. 하지만 그 지분구조와 다른 저축은행을 인수한 ‘자금력’을 놓고 금융가에서는 구구한 억측을 하고 있다. 여기서 거론되는 곳이 대한전선 그룹과 또 다른 중견그룹인 G사다.

    대한전선 그룹은 지주사 역할을 하는 삼양금속이 2005년 이후 ‘씨앤씨 캐피탈’의 전환사채(CB)에 투자를 하며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고. 2007년에는 한국저축은행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 SLS캐피탈 인수에 나서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대한전선이 ‘씨앤씨 캐피탈’에 투자해 1,000억 원 이상의 평가이익을 얻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G사의 경우에는 조세피난처에 수많은 ‘페이퍼 컴퍼니’를 세운 뒤 재벌과 대형 사채업자들의 돈 세탁을 해주고 있다는 소문이 나돈다. G사 오너인 J 회장은 유력 정치인, 거대 재벌과도 두터운 인맥을 자랑한다.

  • ▲ 한국저축은행 그룹의 계열사 지분 구조도. 씨앤씨 캐피탈은 윤 회장의 가족기업이나 마찬가지다.
    ▲ 한국저축은행 그룹의 계열사 지분 구조도. 씨앤씨 캐피탈은 윤 회장의 가족기업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구설수’ 속에서 윤 회장은 2011년 말 기준으로 총 자산 8조 원 대의 거대 금융그룹을 거느리게 됐다. 2010년 9월에는 20대인 딸에게 한국저축은행 유상증자 실권주 중 50만 주를 넘겨줘 경영권을 넘기려는 포석으로 해석돼 화제를 낳기도 했다.

    저축은행 퇴출, 왜 제대로 못 할까?

    이들 ‘그룹’ 규모의 저축은행들이 퇴출될 경우 부산저축은행 사태보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언론 예측이 나오고 있다. 전체 자산 규모가 12조 원에 달하고, 예금자가 100만 명을 넘기 때문이다. 5,000만 원 초과 예금자만 8천여 명, 후순위 채권을 산 사람도 수만 명이라고 한다. 하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나지 않는다.

    먼저 PF 문제가 있다. 지난해 부산저축은행 사태에 이어 10여 곳에 가까운 저축은행 퇴출이 이뤄지면서 정부는 자산관리공사를 통해 4조 원이 넘는 부실 PF(부동산 프로젝트 대출)를 떠안아주기도 했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부실 PF는 여전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0년 말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국저축은행 그룹의 PF 규모는 전체 대출액의 15~20% 사이, 금액으로는 총 1조781억 원에 이른다. 솔로몬저축은행 계열사들은 19~32%, 총 금액은 1조2,219억 원이다. 해당 저축은행들은 “현재는 PF의 상당 부분을 줄였다”고 하지만 ‘사라질 수준’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양 저축은행들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다수의 저축은행 퇴출을 지켜보면서 사옥 매각, 외자유치 등을 통해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고, PF 대출 잔액을 줄이고자 고심했다. PF 규모를 줄이기 위해 공격적인 신용 대출 마케팅과 대대적인 광고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동안 해준 PF 대출의 규모가 엄청나기에 지금은 개인에게 대출해 준 것과 PF 잔액 사이에 낀 상황을 보여준다. 이들 PF 중 일부는 담보가 부실한 ‘브릿지론(원 대출을 하기 전에 해주는 대출. 위험도가 매우 높음)’이라 문제는 더 커질 수도 있다.

    2010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서민 신용대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은행이나 캐피탈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서민들이 주로 저축은행을 이용했다. 신용등급이 낮아 대부분의 대출금리는 20% 이상 수준.

    그런데 저축은행이 퇴출된 후 정리에 들어가게 되면 서민들에게 해준 대출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를 놓고 ‘정치적 이슈’가 나올 수도 있다. 만약 이를 정부에서 떠안을 경우에는 도덕적 해이나 높은 이자율로 인한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다.

  • ▲ 한국저축은행 그룹의 계열사 지분 구조도. 씨앤씨 캐피탈은 윤 회장의 가족기업이나 마찬가지다.

    후순위채도 문제다. 김 정 의원이 2011년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말 기준으로 솔로몬 저축은행이 발행한 후순위채는 1,650억 원, 한국저축은행은 1,416억 원, 경기저축은행 1,150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 후순위채의 이자율은 연 8%대. 하지만 이들 저축은행이 '퇴출'되면 모두 '휴지조각'이 된다.

    이보다 심각한 문제도 숨어 있다. 현재 퇴출될 것으로 거론되는 ‘저축은행 그룹’의 성장사를 면밀히 조사할 경우 우리나라 정치권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는 폭탄이 숨어 있다. 저축은행 대부분은 지난 10년 동안 주인이 바뀌면서 정치권과의 '유착 의혹'을 받아왔다. 실제 몇 개월 전 임 회장은 "내가 '몸통'인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너무 억울하다"는 말을 측근들에게 하기도 했다.

    몇몇 언론들도 지난 4일 금융위와 검찰 소식통 등을 인용해 이들이 수백억 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포학하고 수사 중이라는 소식을 전했다. 부산저축은행도 처음에는 '몇백억 원'에서 출발했다. 

    이런 저런 이유로 '결단'을 내려야 할 금융위와 이들의 불법을 수사해야 할 검찰에게 저축은행은 골치 아픈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