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청자들의 올바른 3D 영상 시청을 위한 '3D 영상 안전성에 관한 임상적 권고안' 및 고품질 3D 콘텐츠 양산을 위한 '3D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이 28일 발표됐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3D 영상 콘텐츠 및 기기가 점차 확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고, 시청자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2010년부터 추진하기 시작했다. 고려대 의대, KAIST, 한국전파진흥협회 주관으로 진행됐다. 

정상인에 대한 임상 실험 결과, 3시간 내 혹은 주 3회 이내의 3D 시청으로 인한 인체 영향은 정신생리학적인 변화, 인지 및 학습 기능, 뇌파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2D 시청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굴절이상을 갖는 6~12세 정상 소아를 대상으로 3D TV를 50분간 시청하게 했다. 굴절이상 변화 평가 결과 3D TV 시청 후 굴절이상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근시 소아의 굴절이상 변화 정도도 정상 시력의 소아와 차이가 없었다. 

치매와 파킨슨병을 가진 사람들은 3D 영상의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있으나, 두통이나 어지러움, 눈 피로감 등은 별로 느끼지 않아 시청에 불편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3D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은 2011년 7월부터 방송사, 가전사, 콘텐츠 제작사 등의 실무진이 작업반을 구성해 이번에 ver.2.0을 개발했다. 현재 3D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집대성한 것으로, 3D 콘텐츠 제작의 준비, 촬영, 편집 등 단계별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권고안과 가이드라인은 지난 4월 ITU-T에 기고․승인되었으며, 10월에는 ITU-R에 기고되어 반영 대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