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캐스트 폐지...뉴스가판대 '뉴스스탠드' 오픈기사제목 대신 '언론사 이름'으로 독자 클릭 유도'MY뉴스 설정횟수'로 상위 52개 매체만 등록 논란
  •  

    √ <뉴스캐스트>란 무엇인가?

    새해벽두부터 서로의 [존폐]를 놓고 다투는 언론사간 서바이벌 게임이 시작됐다.

    전장(戰場)은 바로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마련된 <뉴스스탠드(newsstand.naver.com)>다.

    이름 그대로 신문 가판대를 표방하는 <뉴스스탠드>는 기사 제목으로 승부를 걸던 기존 <뉴스캐스트 >방식에서, 언론사의 [네임 벨류]로 독자들의 선택을 받는 방식으로 변화를 꾀했다.

    낚시성이 짙고 선정적인 [뉴스 제목]을 네이버 메인 페이지에서 걸러내기 위해 고안된 <뉴스스탠드>는, [와이드뷰어]를 통해 제휴 언론사들의 홈페이지 초기화면을 그대로 구현해 주는 게 특징.

    뉴스캐스트 [언론사 전체보기] 창에서 해당 언론사명을 클릭하면 곧바로 [와이드뷰어]로 넘어가는데, 그 안에서 언론사를 택일하면 언론사 초기 화면과 유사한 지면을 만나 볼 수 있다.

    각각의 기사 제목을 누르면 역시 해당 언론사 페이지로 이동한다.

    한 마디로 <뉴스스탠드>는 언론사 홈페이지를 고스란히 모아놓은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독자들의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3개월간 기존 <뉴스캐스트>를 <뉴스스탠드>와 듀얼 가동한 네이버는 4월 1일부터 <뉴스캐스트>를 전격 폐지했다.

    문제는 기사 제목이 아닌, 언론사 로고가 전면에 뜨는 <뉴스스탠드>가 본격 시행되면서 심각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는 것.

    가장 크게 대두된 문제점은 언론사의 트래픽이 [급감]한 점이다.

    수년간 <네이버>에 무료로 기사를 공급해 오며 [자생력]을 잃어버린 대부분의 언론사들은 독자 방문자수가 이전 대비 50~80%가 빠져나가는 [공황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

    <뉴스캐스트>에서 기사 제목을 보고 해당 언론사를 방문하던 온라인 유저들은 신문 브랜드를 앞세운 <뉴스스탠드>에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는 분위기.

    이들 중 상당수는 다른 포털이 아닌, [네이버 자체 뉴스]로 돌아선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결과는 <닐슨코리안클릭> 조사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닐슨코리안클릭>이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네이버뉴스 페이지뷰(PV)]를 조사한 결과, 3월 마지막 주보다 4월 첫째주 페이지뷰가 약 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가 <뉴스스탠드>를 도입하는 의도와 목적


    국내 온라인 검색시장에서 수년째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네이버는 2009년 1월 [기사 편집]과 [선택·배치] 권한을 생산자인 언론사에 되돌려주는 <뉴스캐스트> 서비스를 시작했다.

    매출 하락을 감소하더라도 언론사로 [오인]되는 폐단을 근절하고 언론사의 순기능을 회복시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페이지뷰의 상당수를 차지했던 뉴스 서비스를 언론사에 귀속시킨다는 결정은 당시로선 파격적인 선언이었다.

    그동안 언론사가 공짜로 건네준 기사를 갖고 포털사들이 자기들 배만 불리고 있다는 지적에 시달려온 네이버는 콘텐츠를 제공 받는 대신, 트래픽을 언론사에 무상 양도하는 [윈윈 전략]을 택했다.

    이렇듯 <뉴스캐스트>는 뉴스로 발생한 트래픽을 언론사와 쉐어한다는 측면에서 이상적인 상생 모델로 손꼽혔다.

    하지만 부작용도 발생했다.
    편집권 이양에도 네이버에 대한 [쏠림 현상]은 여전했고, 클릭율을 높이기 위한 언론사간 과도한 경쟁이나 선정적인 기사 배치가 도마 위에 올랐다.

    <뉴스캐스트>를 실시하며 네이버는 단순한 [유통사]의 역할만 담당했지만 네이버를 통해 각 언론사 뉴스를 접한 네티즌들은 기사에 대한 불만을 모두 네이버에게 쏟아냈다.

    낚시성 제목에 허탈감을 느낀 독자들과,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편집 방향에 짜증이 난 독자들은 네이버의 각종 게시판에 글을 올려 해당 언론사와 네이버를 싸잡아 비난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네이버는 또 한번 뉴스 서비스에 칼을 대기로 결정했다.

    자극적인 제목으로 독자들을 유인하는 악습을 막기 위해 네이버는 브랜드 네임을 독자들의 판단기준으로 삼게 하는 <뉴스스탠드>를 도입키로 한 것.

    <뉴스스탠드>는 제목 대신 언론사의 이름을 클릭해야 뉴스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아무리 좋은 기사를 생산하는 신문사라 하더라도 독자들에게 인기가 없는 신문사는 자연히 퇴출 수순을 밟는 구조다.

    생존구도만 놓고 보면 <뉴스캐스트>보다 더욱 냉혹하고 치열해진 느낌이다.

    이외에도 네이버가 <뉴스스탠드>를 도입하게 된 배경으로 ▲네이버의 사업 방향 변화(모바일 플랫폼 중심)와 ▲활용도가 미미한 MY뉴스의 활성화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특히 <뉴스스탠드>의 도입은 (MY뉴스 설정을 위해)네이버에 로그인하는 순방문자수를 늘려 결과적으로 네이버의 독과점 구조를 더욱 탄탄케 하는 악수(惡手)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뉴스스탠드>가 한국 언론계에 미칠 파장과 영향력은?


    온라인 뉴스 유통 시장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네이버 뉴스>의 재편은 곧 언론사들의 생존구도와도 연결된다.

    <뉴스스탠드>의 도입은 언론계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가중화 시킬 우려가 있다.

    <MY뉴스>의 설정 횟수와 [이용률(구독숫자)]에 근거해 <뉴스스탠드> 진입 매체를 선별하겠다는 방침은, <MY뉴스> 설정을 독려하기 위한 [알바] 동원 가능성을 부추긴다.

    이는 자금력과 영향력이 막강한 메이저 언론사에게 훨씬 더 유리한 조건이 조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매니아층이 두터운 언론사들도 이익을 볼 수 있다.

    반면 인지도가 낮은 중소언론사나 경제지, 전문지들은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자칫 신문기사의 [질]이 아니라, [재미]로 뉴스스탠드 [당락 여부]가 결정될 공산도 있다.

    선정적인 기사 양산을 막고자 시행된 <뉴스스탠드>가 또 다른 과열 경쟁을 부추길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 <뉴데일리> 등 보수우파 언론의 앞날은?


    <뉴스스탠드> 도입으로 <뉴데일리> 등 보수우파 매체들의 앞날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현재 국내 언론사 중 정통보수세력을 대변하는 매체는 <뉴데일리>와 <데일리안> 등 극소수 매체 뿐이다.

    다수는 무채색의 중도 성향이거나 좌파 언론들 뿐이다.

    메이저 언론으로 불리는 <조선>·<중앙>·<동아일보>도 정통보수우파보다는 중도로 돌아선 느낌이다.

    문제는 보수 매체들의 규모와 자금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데 있다.

    또한 온라인 이용자의 상당수가 중도 우파나 좌파 성향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젊은층의 인터넷 이용률이 높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MY뉴스> 유치를 위한 과열경쟁이 벌어질시 <뉴데일리> 등 극소수의 보수매체는 뒤쳐질 수밖에 없다.

    예고한 대로 <MY뉴스> 구독자 숫자에 따라 <뉴스스탠드> 진입 여부가 결정된다면, 인력 동원 능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보수우파 언론은 [퇴출 0순위]다.

     

    마이뉴스 독자수 설정이란?


    네이버는 <뉴스스탠드>의 진입 여부를 독자들이 결정토록 했다.

    6개월 동안 <MY뉴스>로 채택한 횟수가 높은 언론사 순으로 52개 매체만 <뉴스스탠드>에 노출시키도록 정한 것.

    이에 따라 <MY뉴스> 이용 실적이 저조한 매체들은 6개월마다 기본형에서 선택형으로 노출 포맷이 바뀌게 된다.

    이는 언론사들의 퇴출 여부를 놓고 독자들이 6개월마다 투표를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매체들을 코너에 몬 이같은 정책은 [건전한 긴장감] 대신 치열한 이전투구 양상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

    뉴스 매니아들의 전유물이었던 <MY뉴스>를 하나의 기준점으로 삼은 것도 문제다.

    만일 6개월간 [MY뉴스 신규 설정 횟수]만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이미 <MY뉴스> 독자가 포화상태에 이른 언론사는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MY뉴스 이용률]을 기준으로 한다고 해도, 과연 <MY뉴스> 이용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의문이다.

    특정 언론사를 돕기 위해 의무적으로 클릭을 하거나 설정하는 이용자를 가려낼 방법이 없고, 네이버 측의 판단을 흐리기 위해 특정 언론사를 <MY뉴스>로 설정했다가 [고의 해제] 하는 악성 독자들이 생겨날 가능성도 있다.

    현 <MY뉴스> 이용자들의 이용실적이 매우 저조하다는 점도 문제다.

    이용률이 1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MY뉴스>가 언론사들의 퇴출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다수의 언론 종사자들은 "특정 집단이 <MY뉴스> 설정과 이용을 독점할 수 있어 전국 독자들을 대변하기엔 부족한 면이 많다"며 "표본화 되지 않은 <MY뉴스> 설정은 뉴스 독자들의 대표성을 띤 지표가 될 수 없다"는 지적을 가하고 있다.

    네이버에서 공개한 [뉴스스탠드 도입 전, 네이버 MY페이지 설정 자료]에서도 <MY뉴스> 설정이 활성화 된 매체는 30곳 밖에 없고, 이 중 몇몇 매체는 주요 언론사도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 98700
    국민일보 51350
    동아일보 64200
    조선일보 70900
    중앙일보 71300
    한겨레 101150
    한국일보 62600
    YTN TV 63350
    매일경제 77000
    머니투데이 52050
    서울경제 51200
    아시아경제 39250
    이데일리 46350
    조선비즈 37850
    파이낸셜뉴스 47300
    한국경제 60700
    헤럴드경제 50950
    노컷뉴스 67450
    뉴데일리 32400
    데일리안 31050
    미디어오늘 71050
    오마이뉴스 83700
    프레시안 77050
    코리아헤럴드 41900
    스포츠서울 55650
    스포츠조선 51350
    일간스포츠 56600
    게임메카 30100
    과학동아 32150
    10 아시아 27350

     

    보수우파 신문의 앞날, 뿌연 안개 속?


    서글픈 얘기지만 보수우파 신문의 앞날이 <MY뉴스> 설정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국내 온라인 뉴스의 독자 대부분은 포털에서 유입된 독자들이다.

    포털에 기대지 않고 자발적으로 찾아오는 독자들은 언론사마다 5~10% 미만에 불과하다는 게 대부분의 중론이다.

    이는 보수우파 신문들도 마찬가지다.

    인정하기는 싫지만 포털사이트에 대한 언론사들의 [의존도]는 정도를 넘어선지 오래다.

    일정 부문 종속적인 관계가 불가피한 현실에서도 포털과 언론사간 계약이 굳건한 이유는 뉴스 독자를 늘리려는 신문사 측과 막대한 트래픽으로 상업적 이득을 취하려는 포털 측의 입장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동안 <뉴데일리>는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를 십분 활용해 국내 보수 우파 세력을 대변해 왔다.

    온라인 독자층 다수가 좌파 일변도인 현실 속에서 외로운 싸움이었으나, 이같은 희소가치는 막판 큰 힘을 발휘했다.

    우파 세력의 입장을 대변해 줄 곳이 달리 없었던 차에 <뉴데일리>의 등장은 50대 이상의 외로운 우파들에게는 단비와 같은 존재였다.

    포털사이트의 아웃링크 정책은 어찌보면 보수우파의 생명력을 지속시켜준 젖줄과도 같은 역할을 해왔다.

    이제 온라인 시장에 또 한번 후폭풍이 몰아칠 기세다.
    이로 인한 쓰나미는 언론사로선 감당하기 힘든 충격파가 될 수도 있다.

    계사년 보수정권이 새롭게 태동한 가운데, 아이러니 하게도 보수언론은 크나큰 난관에 부딪히게 됐다.

    가뜩이나 [외로운 싸움]이 더 외롭지 않도록, 뜻있는 동지들이 늘어나기를 소망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