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및 전지·정보전자소재 시장 공략 강화
  • ▲ ▲ 중국 LG다구공장 저장시설.
    ▲ ▲ 중국 LG다구공장 저장시설.


<LG화학>은 전체 매출(23억3000억원)의,
40%(10조원) 가량을 [중국]에서 거두고 있다.

1995년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중국 [텐진]에 생산 법인을 설립했으며,
현재는 중국지주회사를 비롯해 1개의 판매법인과,
9개의 생산법인 등 총 11개의 현지 법인을 두고 있다.

[석유화학] 부문의 경우,
1995년 PVC 생산법인(텐진 소재) <LG다구>,
1996년 ABS 생산법인(닝보 소재) <LG용싱> 설립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중국 현지화 전략을 펼쳤다.

현재 PVC는 41만t, ABS는 75만t 규모다.

특히 PVC의 경우,
2007년 PVC의 원료인 EDC/VCM을 생산하는 <LG보하이>를 준공하면서,
원료에서 제품까지 [수직 계열화]를 탄탄하게 구축했다.

ABS의 경우,
2009년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합작법인을 설립,
총 3.7억불을 투자해 화남지역에 ABS신규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1차로 15만t 규모의 공장을 완공해,
내년 초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추후 시장상황을 고려해 2차 15만t 규모의 생산라인을 증설할 계획이다.

ABS신규공장이 완공되면,
LG화학은 중국에서만 [총 100만t 이상]의,
ABS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LG화학은 2009년 중국 회사인 <발천화공>과 합작으로 <LG보티안>을 설립했다.

톈진에 6만톤 규모의 고부가 [합성고무제품]인 SBS를 생산하고 있다.

LG화학은 석유화학뿐만 아니라,
[전지]와 [정보전자소재] 시장도 공략하고 있다.

2003년 난징에 <남평 테크노파크>를 설립해,
2004년부터 TFT-LCD용 편광판과 2차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를 통해 <LG화학>은 중국 내 [휴대폰용 및 노트북용 전지시장]도 적극 공략 중이다.

한편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 경제사절단에 참여해 중국을 방문한 만큼
신규 사업이나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등이 나올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