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경기 침체의 여파로
최근 5년간 서울지역 상위 10%에 해당하는 고가 아파트의
매매가격은 2억원 넘게 내리고 전셋값은 1억7천만원 이상 올랐다.
2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7월 4주차 시세 기준, 서울 아파트 총 119만8,142가구를 대상으로
상위 10%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는 13억6,502만 원, 전세가는 6억4,815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는
지난 2008년 15억8,563만 원에서 13억6,502만 원으로
최근 5년간 2억2,061만 원이 줄었고
전세가는
4억7,362만 원에서 6억4,815만 원으로
1억7,453만 원이 증가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서울 상위 10%에 해당하는 매매가 평균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투자심리가 위축돼
15억8,563만 원에서 2009년 15억3,228만 원으로 5,335만 원이 감소했다.
2010년에는
2009년 발표된 [한강변 초고층 개발] 및 [제2롯데월드] 호재로
1,702만 원이 늘며 15억4,930만 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1년 15억3,538만 원
2012년 14억3,960만 원
2013년 13억6,502만 원 등
올해까지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
이는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로
고가, 중대형 아파트 매수세가 급감하고
재건축 사업에 대한 공공성 강화 요구로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약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 상위 10%에 해당하는 전세가 평균은
줄곧 상승세를 보여 왔다.
2009년 4억7,604만 원
2010년 5억1,809만 원
2011년 6억130만 원
2012년 6억2,287만 원
2013년 6억4,815만 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
이러한 전세가 상승은
부동산 시장 침체로 매매가 하락이 이어지자
주택 구매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올 하반기에도 비슷한 양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취득세 감면 종료]로 거래량이 급감하는 등
하반기에도 매매시장이 반등할 가능성이 적고
전세가는 비수기임에도 상승 폭이 커져
전세난이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