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향후 5년간의 연구개발(R&D) 정책 및 방향을 담은
[ICT R&D 중장기 전략](ICT WAVE 전략)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미래부>는 <제2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ICT WAVE 전략] 실현을 위한 4대 비전을 제시하고
[5년내 기술 상용화율] 35%(현재 18%),
[ICT R&D 투자생산성] 7%(현재 3.42%),
[국제 표준특허 보유] 세계 4위(현재 6위)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미래부는 향후 5년간
ICT R&D 분야에만
총 [8조 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산유발] 12조 9,000억원,
[부가가치 창출] 7조 7,000억원,
[일자리] 18만 개 창출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미래부는
콘텐츠(C),
플랫폼(P),
네크워트(N),
디바이스(D),
정보보호(S)
5개 분야에서 10대 핵심기술을 개발해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해 나갈 예정이다.
[10대 핵심기술]을 근간으로
[15대 대표 미래서비스]를 선정해 중점 구현한다.
미래부는 연구개발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전산업 고부가가치화,
신산업 창출,
소통‧협업 등에 기여하는
창조경제 실현도구로
[SW]를 [집중 육성] 한다.
△SW R&D투자 확대,
△공개SW연구 강화,
△기초‧원천 SW분야 연구 확대 등
SW 특성에 부합되는 R&D전략을 추진한다.
또한, R&D성과 확산를 위해
[ICT R&D 기획 → 평가·관리 →사업화]체계를 구축하고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한다.
이에 [기획 단계]에서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R&D과제 선정을 위해
△ICT 분야별 민간기업 협의체 구성을 통한 의견 수렴,
△국민 오디션형 R&D 기획을 통해
국민의 아이디어를 R&D로 반영하는 과정을 추진한다.
특히, [중소기업 주관 R&D 비중]을
2017년 32%(2013년 22.7%)까지 높여,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R&D를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평가·관리] 단계에서도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사업화 목적 R&D] 위해
연구기간의 1/6 이상을
사업화 지원기간으로 설정하도록 했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R&D 결과물에 대한 사업화를 위한 추가R&D 지원,
△기술 가치평가 및 거래 기반 구축,
△다부처 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을 통해
성과를 확산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진흥원(전담기관)을 재구성하고
해당 체계 구축 방안 등에 대해
기재부와 협의한다.
한편, 미래부는 국민 누구나 ICT 제품·서비스를
스스로 개발, 활용할 수 있도록
[ICT D.I.Y 플랫폼] 보급을 촉진하고
[ICT 공공 표준화]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전략의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 미래부는
범부처, 민간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내년 2월 총리실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산하
[정보통신융합 전문위원회]를 구성,
범부처 과제 발굴 및 의견 조율을 추진한다.
“ICT는 경제성장 주도,
타 산업과의 융합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 실현의 핵심수단이다.
이번 중장기전략이
우리 ICT가 국가경제의 지속성장과
국민행복 실현에 기여하는 해법 제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최문기 미래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