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2000년 이후 최저수준비은행예금취금기관 대출, 전체 가계대출 50.3%로 급증

은행의 총 대출금 가운데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13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했다.

 

부동산시장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집값이 떨어지자 가계가 집을 담보로 은행권에서 빌릴 수 있는 돈이 줄어든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은행이 가계에 빌려준 돈은 481조1천131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41.7%를 차지하며, 2000년 35.1%를 기록한 이래 가장 낮았다.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국내 은행들의 가계대출 비중은 27.7%였고, 1999년 31.6% 를 기록하는 등 30%대 미만을 맴돌다 2000년부터 40%대로 뛰어오르기 시작했다. 은행권이 외환위기 이후 대출 영업의 초점을 기업에서 가계로 돌린데 따른 것이다. 

이후 가계대출 비중은 지난 2005년 49.8%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2007년부터 둔화하기 시작, 2008년에는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로 42%대로 떨어졌고 2010년부터 4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부동산시장의 장기 불황과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어려움을 겪는 '하우스푸어'의 등장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가계의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자 총부채상환비율(DTI)에 따른 대출 가능 한도도 정체된 상태다. DTI는 담보대출을 받는 채무자의 소득으로 대출금을 얼마나 잘 갚을 수 있는지 판단해 대출 한도를 정하는 제도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비중이 감소한 반면 저축은행, 상호금융사 등 은행이 아닌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비중은 급증했다.

비은행예금취금기관의 대출금 총액 중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44.5%에서 6년 연속 증가해 작년에는 57.2%로 집계됐다. 전체 가계대출 중 비은행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처음으로 50%를 상회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 현재 가계대출 963조99억원 중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206조551억원)과 보험기관·여신전문기관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275조8천236억원)을 합치면 481조8천787억원이다. 이는 전체 가계대출의 50.03%다.

가계가 빌린 돈의 절반이 저축은행·상호신용금고 등에서 나온 셈으로 은행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문턱이 다시 높아졌다는 뜻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