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피아 배제 분위기·방만 경영… 현 회장 연임 불투명
-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 전반에 불어오는 '탈(脫) 관피아(관료+마피아)' 바람이 은행연합회에도 영향을 미칠까.박병원 은행연합회장의 임기 만료가 임박하면서 후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돌고 있다. 후임자로는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과 이종휘 미소금융재단 이사장(전 우리금융 회장),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 김용환 전 수출입은행장 등 4명이 거론된다.◇ 관피아에 방만경영… 현 회장 연임 '안돼요'!은행연합회장의 임기는 3년으로, 1회에 한해 연임할 수 있다. 지난 2011년 취임한 박 회장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연임이 가능하다.그러나 금융권에서는 박 회장이 연임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금융권 전반에 ‘탈 관피아’ 바람이 불어오는 현 상황이 관료 출신의 그에겐 불리하기 때문이다. 그는 제17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뒤, 2007년 2월까지 경제 관료로 근무해 왔다. 우리금융지주 회장 자리에서 물러난 후인 2008년 6월부터 2009년 1월까지는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박 회장 재임 중 은행연합회의 경영이 방만하게 이루어졌다는 지적도 그의 연임가능성을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이다.금융위원회가 지난 8월 공개한 종합감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직원복지 명목으로 큰 목돈을 지급하고, 연합회 회비로 수천만원의 예술품을 구매하는 등 방만한 모습을 보였다. 특목고에 다니는 자녀를 둔 직원에게 1인당 평균 446만원(일반고 161만원의 약 3배)을 지급하고, 공직선거에 입후보하는 직원에겐 3개월 이내의 유급휴직을 주면서 급여의 25%를 지급하는가 하면, 매년 사무실 환경 조성 명목으로 수천만원을 들여 예술품을 구매했다는 것이다.관피아 척결 바람이 불고 방만경영에 대한 지적이 불거지는 등 여러 악재로 인해 박 회장의 연임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게 금융권의 전망이다.◇ 차기 회장, 관피아보다 정통 뱅커?박 회장의 임기는 오는 11월 30일로 만료된다. 그의 임기가 한 달 남짓 남은 상황에서 차기 회장에 대한 하마평이 금융권에서 돌고 있다.거론되는 인물들은 '정통 뱅커'와 '민·관을 두루 거친 인물'의 두 분류로 나뉜다. 조준희 전 행장과 이종휘 이사장은 각각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에 말단 행원으로 입사해 수장의 자리까지 오른 입지전적 인물들이다. 반면 윤용로 전 행장과 김용환 전 행장은 관료 출신으로 분류된다.일각에선 은행연합회의 공익적 성격을 감안, 금융기관 수장과 은행권 경험을 두루 거친 후보가 적합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 때문에 관료 출신인 윤 전 행장과 김 전 행장의 이름이 끊이지 않고 거론되는 것.하지만 탈 관피아 분위기에 힘입어 '정통 뱅커' 출신인 조 전 행장과 이 이사장이 더욱 유리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현직인 박 회장을 제외한 역대 은행연합회장들이 모두 은행장 출신이었다는 점도 이런 의견에 무게를 실어준다. 박 회장은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거치긴 했지만, 은행 근무 경험은 전무하다는 점에서, 취임 당시에도 이례적인 경우로 여겨졌었다.은행연합회장은 시중은행 및 금융지주사와는 달리 회장추천위원회가 구성되지 않는다. 대신 총회를 통해 회장이 선출된다. 총회는 연합회 22개 정사원으로 구성된다. 현재 은행연합회 정사원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외환은행 △농협은행 등 시중은행들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등 정책금융기관 이다. 당국과의 관계 정립도 중요하지만, 은행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임무다. 차기 연합회장 자리를 누가 거머쥘 것인지에 은행권의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