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제한으로 마케팅비용 줄어 전년 동기비 큰 폭 증가이통사 실적 지표 'ARPU' 성장세 꺾여 '빨간불'... "돌파구 마련에 고심"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1년 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통법으로 지원금이 제한 되면서 마케팅 비용이 크게 줄어 고스란이 영업이익으로 잡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성장해오던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줄어드는 등 올 1분기 이통사의 실적 개선은 성장 정체 속에 거둬들인 기형적인 수익으로 판단된다.

이통3사 역시 이번 실적에 대해 난감한 표정이다.

실적이 좋게 나왔다고 발표하기에는 정부의 요금인하 압박과 소비자들로부터 단통법 이후 이통사만 배불렀다는 원성만 듣게 된 셈이다.

특히 현재의 상황이 어렵다는 등의 부정적 입장을 내놓자니, 회사 가치 하락 우려와 투자자들의 눈치가 보이는 것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1분기 SK텔레콤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9.5% 확대된 4026억원, KT는 135.5% 급증한 3209억원, LG유플러스 역시 26.7% 증가한 154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소폭 줄어든 데에 비해 비해 영업이익만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결국 비용 축소에 따른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지난해 1분기 이통3사가 마케팅 비용만으로 총 2조4263억원을 지출했다면 이번 1분기에는 2조580억원을 집행, 약 3700억원 가량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KT와 LG유플러스는 실적발표를 통해 '시장 안정화 효과'라고 밝혔으며 SK텔레콤 역시 전년 동기 대비 마케팅 비용 감소의 영향을 근거로 들었다. 
규제 강화로 기존까지 진행해오던 가입자 뺏기를 위한 무리한 단말기 지원금 비용 지출이 감소한 것이다. 

다만 지난 1월 홀로 단독 조사를 받은 SK텔레콤만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으나 그럼에도 큰 폭의 영업이익 성장에는 무리가 없었다. 

이와 관련, 이통사 관계자들은 모두 "어느 정도 단통법에 따른 시장안정화 효과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했지만 "지난해 1분기와 상황이 다른 데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실적이 나아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통법 시행 반년이 지났지만 이로 인해 이통사만 배불렀다고 판단하기에는 특수 상황 들이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현재의 실적 향상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물론 지난해 1분기 '보조금 대란'으로 시장이 지나치게 과열됐기 때문에 전년 동기 대비 증감폭 수치에 큰 의미를 두기 어려운 측면은 있다. 그러나 기존 가입자들로 인해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매출과 신규 가입자 유치 비용 축소로 수익성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다. 

◆ 비용은 아꼈는데... "성장엔 빨간불"
하지만 이통3사 모두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ARPU 축소는 무시할 수 없는 지표다. 비용을 아껴 영업이익이 증가한다 해도 매출 성장이 멈춘다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이통3사의 ARPU는 모두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LG유플러스가 4.4%로 전분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했으며 다음으로 KT가 2.5%, SK텔레콤이 1% 감소해 각각 3만5792원, 3만3389원, 3만6313원의 ARPU를 기록했다. 

LTE 가입자 및 고가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 확대로 꾸준히 이어져 오던 ARPU 상승곡선이 꺾인 것이다. 이는 이통사들의 고정 매출이 낮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지난달 말부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추가적으로 ARPU가 하락할 수도 있다. 

게다가 그동안 고가의 요금제 중심으로 지원금을 지급했다면 단통법으로 인해 저가 요금제 가입자에게도 일정 비율 지급해야 해 비용 절감만으로는 성장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이통3사 재무 관련 임원들은 컨퍼런스콜을 통해 일제히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새로운 서비스 출시와 본원적 경쟁력으로 성장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ARPU 성장에는 문제 없으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가입 추세도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우려를 방어했다. 

그러나 ARPU가 높은 가입자들은 이미 상당 수 증가했으며 단통법으로 지원금 차별이 없어진데다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율 20%가 적용되면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더해 최근 국회에서는 이통사들의 요금 인하를 계속 요구하고 있는 등 단통법 환경 아래 이통사들의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