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험연구원 '국내 구조화채권시장 현황 및 시사점' 中 보험회사 RBC 추이
    ▲ 보험연구원 '국내 구조화채권시장 현황 및 시사점' 中 보험회사 RBC 추이


    보험사·연기금·공제 등 기관투자가들이 올해 유력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구조화채권 가격의 하락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보험연구원 황인창·최창희 연구위원은 '국내 구조화채권시장 현황 및 시사점'에서 이같이 밝히고, 금융회사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구조화채권은 일반채권과 파생상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상품으로, 일반채권에 비해 높은 표면금리를 제공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저금리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기관투자가들은 보다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구조화채권에 투자해왔다.

    국내 구조화채권은 대부분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리연계채권이다. 국내 현황을 살펴보면, 투자자의 요구 수익률을 충족하기 위해 만기구조가 장기화되고, 미국과 유럽 등의 해외 금리를 이용한 상품이 증가했다.

    이렇게 구조화채권이 해외 금리와 연동되는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는 지난 2014년 10월 대규모 자산매입프로그램(QE3)을 종료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 중에 0%에서 0.25%까지 목표범위를 유지해 온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 세계 금리기간 구조에 변화를 가져오고, 이는 국내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일부 구조화채권 가격은 크게 하락할 수 있다.

    특히 구조화채권 가격은 상품구조에 따라 조기상환 위험·금리상승 위험·변동성확대 위험 등 내재된 위험에 의해서도 상당부분 하락할 수 있다. 

    과거 사례를 보더라도 지난 2013년 6월말 미국의 출구전략 가시화에 따른 금리 상승과 주가 하락으로 인해 유가증권의 평가손익이 대폭 감소, 국내 보험회사들의 지급여력비율(RBC)은 제도 시행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일부 보험회사들의 RBC 비율은 권고 수준인 150% 내외로 떨어졌고, 일부 대형사의 RBC 비율도 200% 근처에 머물렀다.

    황인창·최창희 연구위원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일부 구조화채권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구조화채권에 내재된 리스크를 충분히 인식해서 적정가격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