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넥슨과 같은 사례를 방지하려면 국제화 흐름에 맞춰 한국거래소의 개혁이 필요합니다."

    2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원회에서 "지난 2011년 국내 게임기업인 넥슨이 일본시장에 상장했던 적이 있다"며 "이는 한국거래소가 국제화 흐름에 뒤쳐질 경우 어떠한 상황을 초래하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임 위원장은 "15년 전만 해도 일본에게 기술을 전수해 주는 등 우리 자본시장이 일본보다 앞서있다는 자부심이 있었다"며 "그러나 지금의 한국거래소는 국내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국제적인 흐름에 뒤쳐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방안'을 추진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날 금융위원회는 금융개혁회의를 통해 한국거래소 지주사 전환 후 상장시키는 내용을 담은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파생시장 등 거래소 내의 각 시장은 물적 분할을 통해 거래소의 완전 자회사 형태로 분리된다.

    임 위원장은 "한국거래소가 국내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국제적인 흐름에 뒤쳐져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혁신을 선도하는 선진화된 거래소시장을 위해 이 방안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방안을 통해 임 위원장은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자본시장의 질적 수준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작은 기업이 클 때까지 기다리는 것보다는 미래 성장이 유망한 기업들을 시장에 내놓고 서로 경쟁을 시킴으로써 기업을 성장시키는 게 효율적인 방법"이라며 "유가증권시장에 통합된 이후 자생력을 잃어가고 있는 코스닥시장을 빠른 시일 내에 분리시켜 우량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상장할 수 있는 시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상장이 가능한 기업은 9000여곳에 달했지만, 실제로 IPO를 진행했던 기업은 40곳에 불과했다. 임 위원장은 "'묻지마 상장'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장요건을 높이다 보니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 각각의 특색이 사라졌다"며 "재무상태를 일괄적으로 잣대로 들이대기 보다는 기술력과 성장력 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 코스닥시장의 경쟁력을 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국거래소 독점 체계에서 벗어나 세계 유수 거래소와 경쟁할 수 있도록 우리 자본시장 전체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며 "한국거래소를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뒤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코스닥시장 법인 분리 초기의 비용을 위해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