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생산대수 359만대로 도요타 이어 2위기아 광주공장은 3배로 급증
  •  

    현대·기아차가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가운데 2004년 대비 2014년 자국 완성차 생산량을 가장 많이 늘렸고, 생산량 증가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현대·기아차의 국내 전 공장 생산량이 늘었고, 이에 힘입어 주요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동안 현대·기아차는 오히려 고용을 늘리는 등 높은 국가 경제기여도를 입증했다.

    ◇ 자국 생산 증가량 경쟁업체 압도

    현대·기아차가 도요타, 폭스바겐, GM, 포드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중 2004년 대비 2014년 자국 생산 증가량과 증가율에 있어 모두 1위를 기록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세계 자동차 통계', 업체별 사업보고서, IHS오토모티브 등에 따르면 2004년 한국에서 269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던 현대·기아차는 2014년 359만대의 완성차를 국내에서 만들었다. 10년 새 국내 생산량이 90만대 늘었다.

    반면,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7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는 자국 생산량을 무려 397만대 줄여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그 결과 현대·기아차의 2004년 대비 2014년 자국 생산량 증가율 역시 8개 업체 평균인 -15.0%를 크게 웃도는 33.5%를 기록했다. 이는 국가 경제기여도가 높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기아차 다음으로 지난 10년 간 자국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킨 기업은 폭스바겐이었다. 폭스바겐은 2004년 202만대였던 독일 생산량을 2014년 257만대로 55만대(27.7%) 가량 늘렸다.(포르쉐와 MAN은 2004년 이후 폭스바겐이 합병했으나, 객관적 비교를 위해 2004년 양사 독일 생산량도 당해 폭스바겐의 독일 생산량으로 간주)

    현대·기아차와 폭스바겐을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의 자국 생산량은 지난 10년 사이 일제히 줄었다. 세계 1위인 도요타는 2004년 다이하츠와 히노를 포함해 445만대를 일본에서 생산했으나, 지난해에는 이보다 5.4% 감소한 421만대만 자국에서 만들었다.

    혼다와 닛산의 일본 내 생산량도 10년 동안 각각 28만대(-22.6%), 60만대(-40.5%)씩 줄었다. 자국 생산량 감소가 가장 큰 기업은 GM이었다. GM은 파산보호 후 북미 47개 공장 중 17개를 폐쇄하는 등 자국 생산능력을 줄이고, 대신 해외로 생산시설을 적극 이전한 결과 미국 내 생산량이 2004년 365만대에서 2014년 201만대로, 무려 164만대(-44.9%) 급감했다.

    GM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하긴 했지만, 포드 역시 같은 기간 미국 생산량을 78만대(-25.5%) 줄였다.

    비교 업체 중 감소율은 프랑스 PSA가 가장 높았다. 2004년 프랑스 내 생산량이 193만대에 달했던 PSA의 2014년 자국 생산량은 95만대(-50.8%)로, 10년 사이 반토막이 났다. 생산여건 악화에 따른 생산시설 해외 이전과 함께 글로벌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프랑스 내 공장 가동률이 낮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기아 광주공장은 10년 새 3배로

    지난 10년 동안 현대·기아차의 한국 내 공장 생산량은 일제히 늘었다.

    국내 최대 공장인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량은 2004년 135만대에서 작년 153만대로 13% 가량 증가했고, 그랜저와 쏘나타를 생산하며 꾸준한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는 아산공장 생산량도 27만여대에서 28만여대로 늘었다.

    상용차를 담당하고 있는 전주공장 생산량 역시 같은 기간 5만105대에서 6만9,577대로 40% 가까이 뛰었다.

    현대·기아차의 국내 생산량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공장은 기아차 광주공장이었다. 2004년 18만4천여대에 그쳤던 광주공장 생산량은 이후 지속적인 생산능력 확충을 통해 지난해 53만8천여대로 뛰었다. 10년 동안 생산량이 3배 수준으로 급증한 셈이다.

    같은 기간 기아차 화성공장 생산량은 47만여대에서 56만여대로 19% 늘었고, 기아차 소하리공장은 25만여대에서 32만8천여대로 31% 가량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