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사상 최대, 소비활성화 등 수요 자체 늘려야
  • 시중 통화량을 확대 공급했지만 통화유통 속도는 역대 최저치로 하락했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통화유통 속도는 지난해 3분기 0.71로 전분기 0.72보다 0.01포인트가량 하락하면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시중통화량(M2)로 나눈 지표인 통화유통 속도는 한 나라의 경제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는 데 통화가 평균 몇 번 사용되는지 보여준다.

    통화유통 속도는 1990년 1.51에 달했지만 점차 하락해 1998년 0.88까지 떨어졌다. 2009~2013년 0.76~0.78 수준에서 움직였던 통화유통 속도는 2014년 2분기 0.74로, 같은해 4분기 0.72, 지난해 1분기에는 0.73로 소폭 반등했지만 2분기 0.72로 하락했다.

    중앙은행이 공급한 본원통화가 시중 금융회사에 몇배의 통화를 창줄해주는 지표인 통화 승수도 역대 최저다.

    통화 승수는 지난해 3분기 17.8까지 떨어졌다. 1999년 통화 승수는 30을 넘기기도 했지만 하락 추세를 유지, 2014년에는 20 밑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11월 시중 통화량(M2·광의통화)은 2242조8000억원(평잔·원계열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상승,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작년 9월까지 6개월간 전년 동기 대비 월별 증가율은 9%대를 유지하다가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매달 시중 통화량이 사상 최대 기록을 기록하고 있지만 통화유통 속도가 최저 수준인 것은 시중에 돈이 돌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셈이다.

    부진한 경기회복세를 뒷받침하고자 한은은 2014년 8월·10월, 지난해 3월·6우러 등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0%포인트 내려 시중 유동성을 확대했다.

    기준금리 1.0%포인트 인하로 민간신용이 201조원 늘어난 것으로 한은은 추산했다. 민간신용 증가규모는 2001년 2월부터 진행된 5번의 기분금리 인하 시기 중 가장 크다.

    반면 돈이 돌지 않아 기준금리를 연 1.5% 수준까지 떨어뜨린 완화적 통화정책이 소득 증가, 소비 회복, 투자 증대 등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소비·투자활성화 대책으로 유효수요 자체를 늘려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