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일 보건복지부 국가금연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서울 소재 보건소 25곳 중 현재 야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는 곳은 노원구와 강동구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 연합뉴스
    ▲ 5일 보건복지부 국가금연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서울 소재 보건소 25곳 중 현재 야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는 곳은 노원구와 강동구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 연합뉴스


    흡연과 관련해 보건당국이 금연 서비스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이를 지원할 보건소에서는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퇴근 후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방문하고 싶어도 업무 종료를 이유로 혜택을 받을 수 없고 야간 서비스를 진행 중인 곳도 타 지역 거주자는 이용할 수 없어 흡연자 스스로 금연 의지를 갖춰야 하는 상황이다.

    5일 보건복지부 국가금연지원센터 등에 따르면 서울 소재 보건소 25곳 중 현재 야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는 곳은 노원구와 강동구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월 보건복지부는 담뱃세 인상 등에 따라 금연클리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당시 복지부는 기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던 보건소 내 금연클리닉을 오후 8시까지 야간 진료를 활성화하겠다는 내용을 강조했다.

    하지만 현재 야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는 보건소는 일부에 그쳤다.

    노원구 보건소 관계자는 "서울 노원구는 주거지가 많다 보니 직장인의 편의를 위해서 야간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퇴근 후 주거지 근처에서 클리닉 상담을 받는 게 편리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다만 노원보건소는 거주자 또는 지역 소재 회사원으로 한정 이용이 가능하며 강동구는 타주민 이용 시 일정 기준에 맞춰야만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회사원 A씨(27·서울 양천구)는 "가능하다면 퇴근 후 야간 금연클리닉을 방문하고 싶지만 거주지와 근무지 모두 운영하지 않는다. 주말운영도 있지만 개인 사정이나 잔업을 처리하느라 방문이 쉽지 않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경우 주 1회 방문을 원칙으로 4주 동안 진행된다. 금연 패치, 껌 등의 보조제를 지원하며 전문가의 상담을 제공한다.

    금연에는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큼 정기적인 상담과 클리닉 방문이 꼭 필요하다. 하지만 정작 두터운 흡연 층을 가진 직장인은 업무시간과의 충돌로 방문이 쉽지 않다.

    중구 보건소 관계자는 "보건소마다 운영시간이나 지침이 달라 야간 운영이 어려운 곳도 있다.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담사가 적은 지역은 야간 운영이 더 어렵다"고 말했다.

    강남구 보건소 관계자는 "기존에 야간 클리닉 운영을 했었지만 내소자가 많이 없어 운영을 폐지했다. 직장인 야간 클리닉 수요가 늘어나면 야간 클리닉 운영을 검토할 예정이다"며 인원 탓으로 돌렸다.

    보건당국이 금연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이용이 원활한 보건소에서는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흡연 10년차인 직장인 B씨(32·서울 강북구)는 "보건소도 공공기관인 만큼 공무원 퇴근 시간에 맞춰 운영되는 것 같다. 금연하고자 하는 직장인은 퇴근 후 클리닉에 방문하는 것이 가장 편한 것이 사실이다. 서울 어디서든 주 1회 정도는 야간 운영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홍관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회장은 "주간에 클리닉 방문이 불가능한 직장인 등을 위해 야간 클리닉이 개선돼야 할 필요가 있다"며"보건복지부에서 야간 클리닉 활성화 방안에 대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야간 운영 거부에 보건당국은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확대운영은 15년 초 담뱃값 인상에 따른 금연클리닉 수요 증가를 예측해 시작했다. 하지만 2015년 중후반에 들어서 금연클리닉 방문자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지자체별로 예산, 인력 상황이 다르다 보니 수요가 줄어든 곳은 확대 운영을 폐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지자체 상황에 맞춰 운영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방문객의 편의가 우선이다. 앞으로 클리닉 방문자 수를 파악해 연장근무에 대해 협의하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