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료 협상 난항 겪으면서 향후 향배 이목 집중
  • ▲ ⓒ현대상선
    ▲ ⓒ현대상선

정부의 법정관리 카드에도 현대상선 용선료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면서 향후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현대상선의 최대 변수인 용선료 인하 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않자 이대로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이 실제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관련 업체들의 타격은 불 보듯 뻔하다는게 중론이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해운 빅2의 법정관리는 모두에게 최악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라며 "직접적으로 장기 운송 계약을 한 업체들은 타격이 더 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상선이 오는 31일까지 용선료 협상 인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결국 법정관리 개시가 불가피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관련업계는 이를 예의주시 하고 있다.

특히 장기 운송 계약을 한 일부 업체들은 혹시나 모를 불똥이 튀지 않을까 노심초사 하고 있는 모습이다. 앞서 현대상선과 에스오일은 2013년 약 5년간 2000억원 규모의 원유 장기운송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 계약으로 2018년까지 총 1600만톤의 원유를 중동에서 한국 온산항으로 수송한다. 

이에 따라 현대상선이 법정관리에 들어서면 장기계약을 했던 에스오일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해운업계와 거래를 이어오던 철강업계도 최소한의 단기계약 체결을 자제하고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현대상선과 한진해운 등 국내 빅2 보다는 중견·중소 해운사들에게 발주물량을 늘리면서 리스크를 최소화 하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과거 포스코와 현대상선은 주로 장기 운송 계약이 이뤄졌다. 철강제품 특성상 벌크선 장기 계약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단기 계약이 주로 이뤄졌고 이마저도 거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철강업계 뿐만 아니라 중소해운사 역시 유탄을 맞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또 다른 해운업계 관계자는 "아무래도 업황이 긍정적인 분위기일때 덩달아 주변도 흐름을 타지 않겠는가"라며 "해운업도 영업이 필요한 곳이다. 해운업계 맏형격인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침체기로 인해 줄줄이 줄초상 분위기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해운업의 미래를 위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9일에 열린 제25차 아시아선주협회(ASA) 연차총회에서 선주협회는 "한국 해운업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이대로 해운업계를 죽일수는 없다"라며 "현재 해운업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이어 선주협회 측은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에 다다를 것"이라며 "한계기업에 대한 무리한 구조조정을 지양하고 중소·중견 해운기업을 위한 재기의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