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악화·입주대란·건설사 타격 우려"
  • ▲ 10대 건설사들이 올 하반기에 10만여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입주시점이 도래하면 과잉공급에 따른 후폭풍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청약일정을 진행한 강원 지역의 한 신규분양 단지 견본주택 내. ⓒ뉴데일리경제 DB
    ▲ 10대 건설사들이 올 하반기에 10만여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입주시점이 도래하면 과잉공급에 따른 후폭풍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청약일정을 진행한 강원 지역의 한 신규분양 단지 견본주택 내. ⓒ뉴데일리경제 DB

    올해 초 금융당국의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 등의 악재로 주택공급계획을 낮춰잡았던 건설사들이 하반기 본격적인 물량공세에 나선다. 총선 등으로 미뤄진 탓도 있지만, 내년도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다만 이런 추세라면 작년 말 제기된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가 다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기준 상위 10개 건설사들은 올 하반기 총 10만8717가구를 신규분양할 예정이다. 상반기(6만708가구)에 비해 1.7배가량 늘어난 물량이다.

    대우건설은 10대 건설사 중 가장 많은 2만3487가구를 하반기 공급한다. 상반기(9740가구)보다 2.4배 정도 증가했다. 상반기에 비해 증가율이 가장 높은 현대산업개발의 경우 상반기(3217가구)에 비해 2.9배 많은 9345가구를 선보인다.

    상반기 가장 물량(1만2457가구)을 쏟아낸 GS건설도 하반기에 물량공세를 이어간다. 상반기보다 1.2배 많은 1만5194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유일하게 공급이 없었던 SK건설도 하반기에 올해 마수걸이 분양을 비롯해 총 5806가구를 분양할 채비를 하고 있다.

    이밖에 △대림산업 1만2551가구 △롯데건설 1만1266가구 △현대건설 1만235가구 △포스코건설 8862가구 △현대엔지니어링 9345가구 △삼성물산 5967가구 등도 하반기 물량을 쏟아낼 준비를 하고 있다. 이들 건설사들은 모두 연내 1만가구 이상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분양시장 열기가 대형건설사들이 해외시장의 부진을 체감하지 못 할 정도로 이어지고 있다"며 "열기가 여전한 만큼 건설사들이 상반기보다 많은 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건설사들은 작년 말부터 제기된 주택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와 금융당국의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 방안 등의 악재로 주택공급계획을 대폭 축소한 바 있다. 하지만 분양시장이 예상 외로 호조세를 지속하면서 공급계획을 수정하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로 대우건설의 경우 작년 말 총 2만1988가구를 분양하겠다는 2016년도 주택공급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하반기 공급일정이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대우건설은 연내 총 3만3227가구를 공급하게 된다. 당초 계획보다 1.5배 늘어난 셈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팀장은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사실상 기존주택에만 적용되고 중도금 대출로 아파트를 구매하는 신규분양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청약시장으로 수요들이 몰렸다"며 "여기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면서 투자처를 못 찾은 자금들까지 몰리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연초 과잉공급 우려와 4월 총선 이슈 등으로 분양시기 조율에 눈치를 본 영향도 있지만, 브렉시트발 글로벌 경기 침체나 본격적인 대선 국면 진입 그리고 조선·해운업계 구조조정 등 국내외 경제·정치 상황으로 내년도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도 물량 공세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각에서는 최근 공급되는 신규분양 단지들의 입주가 시작되는 올 하반기 이후부터는 입주 대란은 물론, 건설사 유동성 문제 등 그에 따른 후폭풍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장재현 팀장은 "하반기에도 분양물량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중도금 집단대출 급증에 따른 가계부채 악화와 2018년 이후 입주물량 증가로 국지적 과잉공급 후유증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중견건설 A사 관계자는 "입주시점에 가서 고객이 중도금과 잔금을 치르지 못하면 중도금 대출을 일으켜 공사비용과 협력업체 대금을 조달한 건설사의 경우 신용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잔금이 지체되면 무엇보다 지역건설사나 중소건설사들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