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사진 연합뉴스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 사진 연합뉴스

    새 이사장 선임을 위한 공모결과 ‘적격 후보가 없다’는 결정을 내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지난 2일 7대 이사장 후보자 재공모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번에는 낙하산 의혹, 정피아-관피아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토교통부 산하 준시장형 공기업인 JDC는 올해 예산이 8천52억원에 달할 만큼 덩치가 크다.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된 JDC는, 신화역사공원, 예래 휴양형 주거단지, 첨단과학기술단지, 제주영어마을 등 대규모 개발사업을 주로 추진하면서, 제주도를 대표하는 공기업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특히 JDC는 공항과 제주항(국내/국제) 등 3곳에서 내국인면세점을 운영하면서, 제주도민은 물론 일반국민에게도 존재감을 알리고 있다.

JDC가 추진하는 사업 중 신화역사공원과 예래 휴양형 주거단지 개발사업은, 사업비가 각각 2조 4천억~5천억원에 이르는 대형 프로젝트다.

사업규모에서 알 수 있듯 매출도 작지 않다. JDC의 지난해 매출은 6천790억원, 당기 순이익 1천53억원을 기록했다.

한해 8천억원이 넘는 예산과 1천억원을 웃도는 당기순이익을 달성한 기관인 만큼, 이사장 자리를 둘러싼 경쟁은 치열하다.

JDC 7대 이사장 선임이 지난 6월 중순부터 두 달 넘게 파행을 거듭하는 것도, 기본적으로는 새 이사장이 갖는 위상과 영향력 때문이다.

JDC는 6월 초 새 이사장 선임을 위한 공모를 시작했다. 당시 공모에는 제주도내 인사 8명, 도외 인사 1명 등 모두 9명이 지원서를 냈다. 잡음은 이때부터 불거졌다.

지역 정가에서는 JDC 7대 이사장 선임과 관련해 사전 내정설, 낙하산설이 빠르게 퍼져나갔다. 일부에서는 “지난 대선 캠프에 몸을 담은 도내 출신 정치인이 낙점을 받았다”는 식의 확인 안 된 說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사전 내정설과 같은 잡음이 일어난 데에는, 당사자인 JDC의 불투명한 행정도 한  몫 했다. JDC는 공모에 응한 지원자와 관련된 정보를 일체 공개하지 않았다. JDC는 지역 언론을 중심으로 정보공개 거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자, 뒤늦게 지원수가 모두 9명이란 사실 정도만을 공개했다.

JDC가 지원자에 대한 공개를 꺼렸지만, 누가 지원서류를 냈는지는 언론의 취재를 통해 대부분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4.13 총선에 출마한 제주지역 유력 정치인, 국토부 고위공무원 출신 인사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각종 설이 난무하는 상황에서, 지원자 9명 중 최종 후보자 3명의 추천권을 가진 JDC 임원추천위원회는, 무려 4차례나 회의를 열고도 후보자 추천을 결정하지 못했다. 결국 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마지막 4차 회의에서 ‘적격 후보자 없음’이란 결정을 내렸다.

이 과정에서 위원들이 상당한 심리적 부담 내지 정치적 압박을 받았다는 소리가 JDC 안팎에서 들렸다. 
JDC 새 이사장 선임을 위한 재공모는 지난 2일 다시 시작됐다.

재공모가 확정되면서 사전 내정설과 같은 각종 추문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분위기다. 그러나 재공모를 바라보는 지역사회의 시각은 부정적이다. 무엇보다 재공모를 해도 ‘정피아-관피아’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견해가 적지 않다.

JDC의 관리 감독을 맡은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관련 언론보도 등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새 이사장 공모를 위한 임원추천위 구성이나 운영은 JDC가 맡고 있다. 거기에 우리가 깊숙하게 그렇게(관여) 할 수는 없다”며, “공정하고 신속하게 이사장 선임 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지도 감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JDC에 대한 감독이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법이 정한 절차와 권한에 따라 주기적으로 현안을 보고받고 있다. 지도 감독은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