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평택시와 인천 영종도는 수도권에서 미분양으로 골치를 썩는 대표지역으로 꼽힌다. 미분양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개발호재를 믿고 밀어내기식 사업을 지속한 까닭이다. 결국 미분양 증가라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모습이다.
1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기준 영종도가 속한 인천 중구 미분양은 1004가구다. 인천 미분양 중 41.8%가 중구에 속해 있다. 경기 평택시에서도 4261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아 있다. 이는 경기 전체 미분양 중 26%에 해당한다.
문제는 건설사들은 미분양이 쌓이고 있는 상황에서도 밀어내기식 사업을 지속했다는 점이다.
평택은 △KTX 지제역 개통 △미군부대 이전 등 개발호재가 나오면서 주택공급이 급증했다. 분양물량은 △2012년 1992가구 △2013년 4424가구 △2014년 8058가구 △2015년 1만2137가구 등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올해도 1만7032가구가 공급 및 분양예정이다.
영종도 역시 올해 7년 만에 분양을 재개하며 총 5개 단지에서 4434가구가 등장했다. 건설사들은 복합리조트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등을 호재로 앞세웠지만 미분양 증가만 키웠다. 과거부터 개발호재 무산에 따른 '학습효과'가 돼 있어 관망세가 뚜렷한 상황이다.
건설사들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계약을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저조한 청약경쟁률은 불안요소로 작용한다. 낮은 청약경쟁률은 웃돈을 기대하고 접근하는 투자수요 유입을 가로막는다. 투자수요가 관망세를 보이면서 덩달아 실수요자 유입도 쉽지 않은 모양새다.
올해 평택과 영종도에서 등장한 단지 청약성적도 초라할 정도다. 1순위 마감한 단지가 없는데다가 일부는 순위내 마감도 실패했다. 인천 중구와 경기 평택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정한 미분양관리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결국, 건설사 밀어내기 사업으로 공급과잉 경고등이 켜진 모습이다.
건설사들은 밀어내기 분양을 진행하는 이유로 금융비용을 꼽았다. 택지 확보 이후 분양이 늦춰질수록 금융비용이 증가해 일단 사업을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내년 분양시장을 확신할 수 없어 일단 사업을 빠르게 마무리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
평택은 고덕신도시 분양을 앞두고 있어 건설사들이 밀어내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역 내부에선 삼성전자 산업단지 직접적인 수혜가 가능한 고덕신도시 분양을 기다리는 대기수요가 풍부하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택지지구라는 점도 매력적이다. 기존 평택 분양시장에선 고덕신도시가 달갑지 않은 이유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평택은 일부 대단지가 등장하면서 미분양 통계가 급증했다"면서 "고덕신도시가 분양을 시작하면 수요를 빼길 수 있어 일단 사업을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에선 고덕신도시 분양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분양가 수준에 따라 기존 평택 미분양 해소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평택시 A 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신도시는 인프라가 갖춰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고덕신도시 분양가가 높으면 기존 평택 시장이 수혜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내놓은 11·3부동산 대책에 따른 풍선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분위기 반전도 쉽지 않아 보인다. 미분양이 적체돼 있어 분양권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는 적다는 판단이다.
영종도 K 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영종도는 과거부터 들어온 '미분양 무덤'이라는 편견을 해소하기가 쉽지 않다"면서도 "일부 타입에서 1순위 마감이 나오는 것은 분위기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공급과잉에 따른 소화불량이 한동안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호재가 예고된 만큼 중장기적 관점으로 살펴볼 필요는 있다는 의견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실수요 입장에서 미분양은 원하는 동호수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투자자들은 개발호재가 현실화되는 시점을 기다려볼 필요는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