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발행제한에 올해 11개월 ELS 발행액 39조…전년대비 반토막 수준고객감소 우려 증권사 "투자자 손실 우려 과장…건전성에도 큰 문제 없다"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올해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월간 발행액 기준 5조원을 넘긴적이 한차례도 없이 11월 까지 월평균 3조원대의 발행액을 기록하면서 지난해와 2014년에 비해 60% 수준에 불과한 성적을 올해 기록했다.


    6일 한국예탁결제원이 제공하는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1월까지의 ELS 발행액은 39조480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9조3307억원 대비 56.9%, 2014년 61조3406억원 대비 64.4% 수준으로 줄었다.


    올해의 경우 장기적으로 수익률 제고와 세제혜택 등으로 12월에 자금이 몰리는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어 이달 발행액을 더한 올해 ELS 총 발행액은 43조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ELS시장은 일년 내내 고전을 면치 못했다.


    1월과 2월에는 모두 2조원대 발행에 그쳐 전년대비 3분의 1수준에 그쳤고, 3·9·11월 4조원대 발행을 제외한 나머지 달는 모두 3조원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의 경우 3월에만 발행액이 10조원을 넘어서는 등 월 평균 6조4126억원이 발행됐다.


    연초 이후 급락한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됐던 ELS가 4조원 넘게 원금손실 구간에 접어들었고, 대체 지수로 각광을 받았던 유로스톡스50 지수까지 6월 브렉시트 결정 이후 급락세를 보이며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H지수를 기초지수로 한 ELS 발행액을 전월 상환액만큼만 허용하는 식으로 사실상 통제를 시작하며 하반기 들어 다시 상승세를 탄 H지수의 효과도 보지 못했다.


    당국은 상장지수채권(ETN)과 파생상품 투자펀드를 ELS의 대체상품으로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여전히 ELS의 위험을 우려해 규제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금융위원회는 ELS와 DLS 발행·헤지운용 리스크 등을 감안해 증권사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하고, ELS 헤지운용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ELS 운용자산과 고유재산을 명확히 구분해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수익률과 만기 등 각종 상품정보를 문자메시지나 이메일로 홍보하는 행위도 금지했다.


    이처럼 당국의 강력한 ELS 발행 제한에 따라 증권사들의 고민은 깊다.


    한편에서는 ELS에 대한 당국의 경계 수위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이 ELS 발행제한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증권사 입장에선 ELS 판매 가능 고객이 줄어들 수 있다"며 "ELS 자체 헤지 비중이 낮은 금융사도 향후 발행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투자자들의 손실에 대한 우려가 과장된 부분이 있다는데 주목하며 H지수 ELS에 대한 공포감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상품의 96%가 만기 시점이 2018년 이후라는 점을 들어 이 기간에 일정 지수를 회복하면 약정된 수익 보장이 가능하며, 증권사들의 건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며 지나친 우려를 경계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대선 이후 ELS 기초자산으로 주로 활용되는 선진국 증시 지수가 오름세를 타고, 금리 상승으로 채권시장에서 이탈한 자금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ELS 시장에 다시 온기가 돌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또 만기가 1년으로 비교적 짧거나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도 중도상환 기회를 주는 리자드형 상품이 출시되는 등 금융상품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춘 다양한 ELS가 각광을 받고 있어 전략설정이 뚜렷한 증권사에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