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정국 수습을 위한 민생국회를 약속했지만 '허울'에 그치고 있다. 여기에 박영수 특검이 닻을 올리고 본격 수사 개시에 들어가면서 야권은 김기춘 전 비서실장 등 청와대 인사의 특검을 외치는데 화력을 집중해 민생국회는 또 뒤로 밀릴 전망이다.

20일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출석을 강력하게 요청한 야당은 정치 공세에 열을 올렸다. 급기야 황교안 권한대행은 "대선에 나갈 생각 전혀 없다"고 못박았다. 

대정부질문의 출석률은 참담했다. 새누리당은 친박계와 비박계가 비상대책위원장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으면서 각각 대책회의를 벌이느라 대정부질문은 잊혀졌다. 

야당은 황 대행의 '조퇴'는 없다며 끝까지 자리를 지킬 것을 요구했지만 자신들의 자리는 비워뒀다. 이날 본회의장의 자리를 지키고 있던 의원은 전체 국회의원의 10%인 30명에 그쳤다. 

국회가 이달 말일까지 임시국회를 열고 상임위를 가동하기로 했지만 상임위 일정이 잡힌 곳은 거의 없다. 

상임위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여야 간사 간 의사일정을 협의해야 하지만 당장 새누리당 간사가 언제 바뀔 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탄핵안 가결을 시작으로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까지 치르면서 두동강 난 새누리당은 오는 27일 비박계 의원 20~30명이 대거 탈당할 것으로 보인다. 

12월 임시국회에서 상임위가 열리지 못하면 법안심사도 이뤄지지 못하고 29일 예정된 본회의서 통과될 법안도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시국회가 개점휴업하게 된 셈이다. 

여야는 탄핵안 가결 이후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야정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으나 이마저도 출범시키지 못하고 있다.

당장 AI 조류독감 확산과 미국 금리인상 등 현안이 첩첩히 쌓여있는데도 정쟁에 빠져 민생은 또 다시 뒷전으로 밀리게 됐다. 

일단 당정은 23일 국회서 민생현안 점검회의를 열고 AI, 가계부채, 환율 등 전반적인 민생 현안을 점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