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및 가계부채 증가세 등 부담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8개월째 연 1.25%로 유지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은 2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지난 1월과 동일한 연 1.25% 수준으로 유지하고 통화정책을 운용키로 했다.
이는 다음달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고 가계부채 급증 등 대내외 금융시장의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기준 금리를 변경하기엔 좋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도 현재의 금리 수준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오는 3월 대외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안 제출, 4월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 네덜란드 총선, 브렉시트 협상 등 글로벌 시장의 변수가 널려 있어 금리 인상은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대내적으로도 탄핵 정국과 부쩍 늘어난 가계부채 역시 부담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말 가계부채 규모는 1300조원을 넘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부채 증가 속도도 1년 사이 141조원 이상 늘었다. 만약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더 낮춘다면 가계부채가 더 빨리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올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정책금리 인상 논의가 예정돼 있다는 점도 불안 요인이다.
연준은 이날 기준금리 인상 관련 내용이 담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공개, 공개된 회의록에는 참가자들이 가까운 시일에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이 이뤄질 수도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어 한국은행도 장시간 동결을 이어가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시장금리 상승 영향으로 대출금리가 계속 오르면 자본유출 위험을 감수하면서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향후 세계경제의 회복세는 미국의 신정부 정책방향 및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보호무역주의 확산 움직임, 유로지역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경제도 지난 1월 전망 경로와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보고 완만한 성장세를 예상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지난해 6월 한 차례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한 이후 올해까지 8개월 연속 동결을 유지해왔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해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