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성 vs 노동 인력 감소 우려 팽팽
  • ▲ ⓒ 연합뉴스
    ▲ ⓒ 연합뉴스

“노동의 관점에서 자동화가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는 우려, 그리고 자동화의 가속화에 따라 사람들이 어떻게 대응해야하느냐가 우리의 연구 주제다.” (피터 리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 총괄 부사장)

사물인터넷(IoT)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의 도입이 산업 전반의 변화를 가져오리란 전망은 더 이상 새롭지 않다. 이미 고령화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는 더 이상 사람의 손에 기대지 않는 생산 공정으로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최근 물류업계에서 이러한 변화의 바람이 두드러진다. 물류업계가 통상 ‘사람의 손’에 기대는 바가 큰 업종인 만큼 관심의 정도는 더욱 뜨겁다. 아마존을 비롯해 일본 정부가 최근 발표한 물류 자동차 방침의 결론은 ‘완전 무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이미 로봇 ‘키바’와 자율주행 전동카를 일선 현장에 도입했다. 상품 분류는 로봇이 도맡아 처리한다. 상하차와 분류를 사람의 손에 의지하는 국내와 비교해 아마존의 무인화는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된 셈이다.

일본도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발표된 ‘무인화 정책’은 고령화로 노동 인구 감소라는 극심한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키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 정부는 물류업에서 자율주행과 드론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세 단계에 걸쳐 무인화를 진행시키겠다는 게 정책의 요지다. 

그렇다면 한국의 경우는 어떨까?

대표적으로 CJ대한통운은 화물에 대한 맞춤형 기술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물류 설비 자동화를 위해 수천억 원에 이르는 투자도 한창이다. 그러나 완전무인화에 대해서는 다소 유보적인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관계자는 “인력 수급이 어렵지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다”며 “상하차 등 ‘단순노무’ 비용 절감도 중요하지만, 종사자들이 이를 통해 생계를 해결하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사실 ‘자동화’는 효율에 극대화된 경영 전략이다. 이로 인한 일자리 감소 문제는 19세기 산업혁명 당시부터 제기돼왔다. 작금의 상황은, 그러나 당시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에서 궤를 달리한다.  

효율과 편리함은 ‘인간 대체 현상’이라는 무인 시대를 관통하는 동전의 양면이다. 결과적으로 물류업계의 무인화는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불가피하다. 문제는 대책 마련과 발전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의 부재다.   

이와 관련해 AI에 대한 다년간 연구를 진행 중인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는 “AI의 통제와 활용이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첨단 기술 시대를 맞이해 국내에서 어떤 논의가 필요한지를 시사한다. 

지난해 말 마이크로소프트가 국내에서 개최한 ‘21세기 컴퓨팅 컨퍼런스’는 논의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당시 ‘AI가 노동력을 대신하게 된다면’이란 질문에 대해 피터 리 부사장은 다음과 같이 답했다. 

“기술은 양면성을 갖는다. 어떻게 AI를 윤리적으로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계속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