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 가계대출 중 수도권 비중이 80%를 돌파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8조3000억원으로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가 발생했던 2011년 말(10조2000억원)보다 79.4% 급증했다.
수도권 저축은행 점포의 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수도권 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15조원 수준으로 2011년 7조4000억원보다 2배 넘는 수준으로 급증했다.
특히 서울지역 저축은행 점포의 대출이 같은 기간 117.3% 폭증해 지난해 말 1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전체 상호저축은행 대출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72.5%에서 지난해 82%로 9.5%p 상승했다.
보통 상호저축은행은 기업대출이 많았으나 최근 몇년간 가계 대출 늘리기에도 공을 들였다.
대출자들도 지속되는 저금리 기조에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시중은행에서 저축은행과 같은 2금융으로 넘어가는 풍선효과 영향도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의 저축은행이 대부분 대형사가 많고 중금리대출 등의 신용대출을 적극 취급하면서 가계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또 대부업계 저축은행이 대부업 자산을 저축은행으로 지속적으로 편입 시키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중 비중이 낮은 주택담보대출만 보면 저축은행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 70%를 초과할 정도로 대출 여력이 크고 저신용자 대출도 비교적 용이해 대출 갈아타기 등으로 수도권 비중 상승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허명 부천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는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고 2금융권에서 추가 자금을 대출해 생활자금 등으로 쓰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저축은행은 LTV가 높고 저신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은데 서울은 주택 단가가 지방에 비해 절대적으로 대출금이 많다"고 말했다.
문제는 향후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부터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대출자들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허 교수는 "저축은행 대출자들은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고 여러 곳에서 대출을 받은 경우가 있어 2금융에서부터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기 시작하면 기존에 시중은행 대출금도 갚지 못하는 연쇄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