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환율 따라 국민소득 '출렁' 구매력 기준 3만9천달러, 日 4만1389달러에 근접
-
우리 국민소득이 미화 3만달러 시대를 열지 못하고 수년 째 2만달러에 정체돼 있다는 지적이 잘못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명목소득을 기준으로 해 실제 국민소득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정재호 인천대 석좌교수는 30일 뉴데일리와 전화인터뷰에서 "명목소득을 국민소득으로 보는 것은 엉터리로 구매력을 기준으로 봐야한다"고 했다. 이어 "명목소득은 경제성장률과 환율에 따라서 언제든 달라질 수 있는 내용"이라고 했다.흔히 1인당 국민소득은 GNI로 비교하는데 여기에는 가계 뿐만 아니라 기업, 정부의 활동도 포함된다. 1인당 GNI가 3만달러가 넘는다고 해도 개개인의 소득이 그만큼 늘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정 교수는 "명목상을 기준으로 한다면 IMF 외환위기 직후였던 김영삼정부 말기와 김대중정부의 국민소득은 비슷하다"고 했다.그는 "김대중정부 때는 원화가 저평가 됐고, 김영삼정부 때 원화가 고평가 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만약 명목기준으로 한다면 두 정권의 경제는 제자리 걸음했다는 평가를 내야하는데 이는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이어 일본은 2012년 국민소득이 4만8천달러에서 이듬해 3만9천달러로 떨어졌는데 그 시기 일본의 경기는 바닥을 찍고 성장궤도에 오르고 있었다.정 교수는 "당시 환율은 1달러당 78엔에서 100엔 수준으로 대폭 떨어졌다"면서 "만약 원화가 올라 1달러당 900원 수준이 된다면 우리도 곧 3만, 4만달러 시대를 열 수 있다"고 했다.그는 "국민소득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구매력 기준으로 봐야한다"면서 "이 경우 우리나라는 3만9천달러로 내년에는 4만1800달러를 기록해 4만1389달러로 예상되는 일본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진단했다.그는 우리 경제가 수치에 집착하기 시작한 것은 김영삼정부 시절로 봤다.정 교수는 "당시 OECD 가입, 소득 1만불 시대를 빨리 달성하기 위해 자본 자유화를 서둘렀다"면서 "결국 외국인 투자금으로 달러가 유입되고 원화는 강세를 보이고 수출 경쟁력은 뚝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고 했다.이어 "어마어마한 부채를 짊어지고 기업들이 다 쓰러지는 상황에서도 원화 강세를 방치한 채 IMF 경제위기를 맞았다"고 했다.연달아 등장한 정부도 아마추어적인 반기업 정서로 기업투자 활동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세계 경제성장률보다 우리 성장률이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정 교수는 "경제 자유도를 높여야 잘 사는 나라가 된다"면서 "청년들에게 돈을 주겠다, 공무원들을 많이 고용하겠다는 것은 나라를 망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아울러 "차기 정부에서는 국가경쟁력을 까먹는 정부의 자의적 규제나, 노동시장 불편함 등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