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인수합병' 보다 '시설-인프라' 투자 집중 방향 잡아"멈춰버린 신산업 대응전략… 미래 위한 공격 투자 아쉬워"


  • 삼성전자의 경영전략이 변해가고 있다.

    그동안 연구개발(R&D)과 인수합병(M&A)등 외연 확장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시설투자'와 '인프라 구축' 등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16일 삼성전자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비중은 7%를 기록했다. 두 자리 수를 기록하던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해 줄어든 것이다.

    연구개발비 규모도 2015년부터 감소세다. 2014년 역대 최고 금액인 15조3255억을 투자한 삼성전자는 2015년 14조8487억원, 지난해 14조7923억원을 집행했다. 올해는 3분기까지 12조2299억원이 연구개발비로 지출됐는데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 연구개발비는 14조원 중반대가 예상된다.

    회사 관계자는 "매출액이 늘어나면서 연구개발 비중이 줄어든 것"이라 일축했다. 하지만 연구개발비 보다 시설투자와 주주환원 정책이 확대되는 추세는 부인하지 않았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연구개발비 확대에 공을 들였다. 기술 내재화만이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2015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전면에 나서면서 경영전략은 개발 완료된 외부기술이나 성공한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쪽으로 선회됐다.

    특히 지분투자로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는 연결개발(C&D) 전략이 강화됐다. 센시프리, 유니스펙트럴, 지오메드, 큐오바이트, 아페로, 그래프코어에 대한 투자가 대표적이다. 

    이같은 전략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이재용식 신산업 대응전략'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데이코, 비브랩스, 스마트싱스, 루프페이 인수도 같은 배경에서 완성됐다. 

    삼성의 새로운 대응전략은 다양한 융합 산업에 대응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으로 평가됐다. 기존 제조업 스타일에서 융합 제품 개발 체제로 변해가며 신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아 온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재용식 대응전략이 기술 변화가 빠른 현재와 같은 시점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외부 인력과 기업과의 폭넓은 연계를 통해 빠른 시장 진입과 상업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에 휩쓸려 구속되면서 신산업 대응전략은 중단됐다.

    연구개발에서 인수합병 및 지분투자로 변해가던 전략은 시설투자와 인프라 구축으로 방향을 돌렸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20년을 바라보는 미래먹거리 확보를 위한 경영정책이 '내실' 다지기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역대 최고 실적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이 확대되면서 외부 투자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전장사업, IoT, 바이오, AI, 센서 등 신산업을 대응할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추구해 왔던 실리콘밸리식 혁신이 허망하게 중단됐다. 최고 실적 달성을 감안할 때 아쉬운 부분"이라면서 "
    미래먹거리 확보를 위한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