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의 은행권 경영간섭이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당국은 은행권에게 올해 실적과 관련해 고배당을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배당정책은 각 은행의 경영상 자율 결정사항으로 존중돼야 하지만 향후 바젤 규제에 대비해 자본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즉, 배당보다 자본 확충을 위해 내부 유보금을 더 쌓으라는 말이다.
시장은 금융당국의 이 같은 입장에 벙어리 냉가슴 앓이 중이다. 특히 은행주에 투자했던 이들이 그렇다.
주식 투자의 기본은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면 그 이익을 주주들과 함께 나누는 게 옳다.
올해 시중은행은 3분기 내 최대 실적을 달성한 만큼 주주들에게 이미 배당 확대를 약속한 상태다.
KB금융지주는 3분기 실적 발표 당시 “올해는 지난해보다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 배당 성향을 줄일 계획이 없다. 장기적으로 배당성향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며 주주들에게 희망을 줬다.
하나금융지주 역시 “향후 2~3년 간 중장기적으로 배당을 올릴 계획이다. 단 올해는 지난해와 비슷한 25% 수준이지만 떠난 투자자들이 다시 들어올 수 있도록 배당을 늘려 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은행 경영진이 투자자에게 했던 약속은 지킬 수 있을 지 미지수다. 특히 우리은행의 지분을 나눠 가진 과점주주들의 불만이 상당하다.
우리은행 민영화 과정에서 과점주주들에게 앞으로 경영 간섭이 없을 것이란 약속까지 했던 금융당국이었다.
그러나 최근 은행장 선임 과정에서 정부가 다시 개입하려 했던 정황이 드러났고 이제는 외부에서 배당까지 간섭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장 선임은 과점주주 이사회에 맡기기로 결정됐지만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배당을 자제하라고 하면 우리은행도 이를 거절하긴 힘들 것”이라며 “내년 배당 매력까지 떨어진 은행에 누가 예보 잔여지분을 매입하려고 할 지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