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이용고객 신용평가서 불리해대출 갚아도 은행처럼 가점도 못 받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직장인 A씨는 급전이 필요해 6개월 전에 신협에서 3000만원의 신용대출을 받았다. 회사 차원에서 설립한 단위 조합이라 우대 금리를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였다.

    하지만 A씨는 한 시중은행에 다른 대출 상품을 이용하러 갔다가 깜짝 놀랐다.

    상호금융을 이용했다는 이유만으로 본인의 신용등급이 2등급에서 4등급으로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 금융당국은 서민금융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역차별을 받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상호금융 대출이용 고객의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도 개선을 요구한 상태다.

    신협, 새마을금고는 지역민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이 대출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신용등급이 최대 2등급 떨어진다면 역차별이란 지적이다.

    신협 관계자는 “상호금융은 서민금융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첨병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오히려 신용평가관리 부문에서 차별을 받고 있어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상호금융 이용고객은 대출금을 다 갚아도 신용등급이 올라가는 혜택도 받지 못한다.

    우리나라 개인신용평가 체계는 소득, 대출 여부, 자산 등 여러 요건을 평가해 100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겨 구간별로 1~10등급을 부여한다. 대출이 전혀 없는 사람보다 빌린 돈을 잘 갚은 사람에게 신용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해 더 높은 신용등급을 준다. 

    반면 상호금융에선 이 같은 혜택이 없다는 것이다.

    상호금융업계 관계자는 “나이스신용정보나 KCB 등 신용정보회사에서는 상호금융에서 증명된 대출 상환 능력을 인정해주지 않아 빚을 잘 상환해도 신용 가점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상호금융 이용고객에 대한 역차별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은행보다 상호금융 대출자들가 위험도 더 크다는 인식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용평가사에서는 개인마다 신용도를 평가할 수 없어 통계 모형상 대출 리스크를 평가하는데 아무래도 은행권보다는 비은행권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과거 통계적으로 연체 확률이 커서 신용등급에도 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처럼 개인 신용평가 체계를 전면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신용등급 체계를 고쳐 '스코어제'로 바꾸겠다고 하지만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것은 신용정보회사의 고유적 업무인 부분이 크기 때문에 평가 체계를 손질도 쉽지 않고 금융업권별 차별을 한순간에 바꾸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