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승계‧채용비리‧지배구조 이어 가계부채 점검까지감독당국 전년대비 검사 횟수 11% 늘린 계획 밝혀
-
-
-
-
▲ ⓒ뉴데일리
시중은행이 금융당국의 문어발식 검사에 대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경영승계 프로세스 점검, 채용비리, 지배구조 등 점검에 이어 이번에는 가계부채관리까지 연이은 검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6개 은행을 대상으로 가계부채관리에 대해 검사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점검은 한국은행의 요구로 진행되는 것이다.
점검 대상은 가계 및 소호대출 관리, 금리 산정체계 등 은행의 대출영업과 관련해 전방위 점검에 나선다.
검사 목적은 소비자보호 측면과 리스크관리 준수 여부지만 매주 이어진 검사에 지칠대로 지쳤다는 은행권 불만의 목소리가 더 높다.
실제 금융감독원은 최흥식 원장 취임 이후 경영권 승계 과정, 채용비리, 지배구조 등을 이유로 은행 문을 들락거렸다.
일각에선 특정 금융회사의 군기를 잡기 위해서 타 은행까지 끼워 검사에 나선 거 아니냐는 불만도 있었다.
실제 이번 가계부채 검사와 관련해 국민은행만 7일(타행 5일)로 검사 일정을 늘려 이 같은 의혹은 더 부풀려지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KB금융지주 측에 사외이사 평가결과 보고서를 제출토록 했는데 평가결과가 허위로 제출됐다며 문제 삼았다.
당시 KB금융지주는 실무자가 구두 보고 때 고의성 없는 단순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금감원 측은 쉽게 넘어갈 수 없다며 이를 갈고 있었다.
지배구조 점검도 하나금융지주를 타깃으로 했다는 의혹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시작은 현직 회장의 연임에서 촉발됐지만 사외이사에게 대가성 특혜가 있지 않았냐까지 불거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잘못이 있어 바로잡기 위해 금감원 점검이 이뤄진다면 당연하게 받아 들일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검사일정, 무리한 자료제출 요구 등은 오히려 실수를 유발시켜 문제를 만들게 된다”고 불만을 토했다.
금감원은 올해 검사 횟수를 전년대비 11% 늘린 736회로 설정했다. 검사 인력도 4000여명 늘린 1만4314명을 배정했다.
검사 계획은 은행권 외에도 2금융권까지 포함된 일정이지만 현재 분위기로 봐선 대부분 은행권에 집중될 것이라는 게 업계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