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많은 동남권, 리스크관리에도 연체율 상승소액대출 집중한 광주·전북銀 고정이하여신 오름세마지막 보루 지자체 시금고도 소외될 경우 생존 위협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지방은행의 미래가 암울하다.

    지역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기업은 물론 지역민까지 살림살이가 넉넉지 못한 탓이다.

    3일 5개 지방은행 실적을 비교해 본 결과 총 당기순이익은 334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326억원 줄어든 수치다.

    가장 낙폭이 컸던 곳은 부산은행이다. 전년동기대비 순이익은 –16.4% 하락했다. 이어 경남은행은 같은 기간 6% 감소한 6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대구은행도 전년동기대비 8.1% 감소한 878억원의 성적표를 공개했다.

    지방은행 중 광주, 전북은행의 경우 실적 개선을 이뤘지만 의미있는 성적표는 아니란 평가다.

    지방은행은 지역 경제가 침체된 영향이 컸다. 이에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이자이익도 줄었지만 연체율 상승이라는 암초도 만났다.

    부산은행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보다 0.14% 상승한 0.65%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을 줄이며 리스크관리에 나섰지만 힘겨운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경남은행 연체율도 전분기 대비 0.24% 상승한 0.74%를 기록했다. 최근 2년 새 가장 높은 수치다.

    경남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도 0.07% 상승해 철저한 뒷문잠그기가 필요해 보인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가계대출에서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다.

    광주은행의 가계부문 연체율은 0.31%, 전북은행은 0.33%를 기록했다. 특히 광주은행의 경우 지난 2017년 1분기 0.14%에서 계속 상승 중이다.

    두 은행 모두 대출형태가 부동산·임대업에 집중된 만큼 부동산 규제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수익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 영역을 진출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시중은행과의 모바일 경쟁은 물론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전문은행과도 경쟁을 펼쳐야 한다.

    2년 전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했을 때 시중은행보다 지방은행의 피해가 더 컸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더 나아가 지방은행 텃밭이던 지자체 시금고도 시중은행에게 뺏길 우려가 높다.

    일단 행정안정부가 지자체 금고 지정 기준을 개선방안을 내놨지만 이는 권고 수준에 불과하다. 결정권을 쥐고 있는 지자체 심의위원들은 이미 지난해 막대한 자금력을 보유한 시중은행의 배팅 능력을 봤다.

    결국 지자체에 내어줄 수 백억원 대의 출연금을 감당해야 밥그릇을 지킬 수 있단 뜻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그동안 애향심으로 버텨왔다, 하지만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며 “앞으로 이자이익보다 비이자이익을 늘리기 위한 금융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